질문주세요

[re] 선생님 궁금해서 그러는데여.,...

2004.04.02 13:57

홍성우 조회 수:88059 추천:1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마침 해당되는 글을 발견하여 퍼왔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Oral Radiographic Manifestation

of systemic Diseases.



구내 방사선상은 가끔 전신질환을 진단하는데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 질환이 나타내는 효과로는 치아의 형성, 석회화 또는 맹출과정의 촉진 또는 지연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치질구조의 결손, 해면골 및 피질골양상의 변화, 지지골내의 병변등은 전신질환이 있음을 반영한다. 이러한 일련의 양상들은 전신골격에 이환되는 질환들 즉, 대사장애, 육아종성 질환,원인을 알수 없는 골격 발육장애, 세망내피증(reticuloendotheliosis), 골내에 발생된 Paget씨 질환 및 기타 질병들에 의해 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비정상적인 형성, 석회화 및 맹출은 태아기,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발병된 전신장애와 관련되어 발병하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해면골이나 피질골 양상의 변화는 어느 시기에나 발병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서는 구내 방사선 소견이 이 질환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첫 실마리가 된다. 하지만 전신질환 환자 모두에서 구내방사선 소견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전신질환의 심각성 및 존재기간에 따라 나타나는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치아 발육 및 맹출의 비정상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상소견을 잘 알고 있어야만 한다. 개개치아들의 맹출시기 뿐만 아니라 석회화 발생시기 및 법랑질 및 상아질 형성 완료시기는 Schour와 Massler(1941) 등에 의해 잘 설정되어 있다. Schour와 Massler가 도안한 인간 치식의 발육정도를 나타내는 도표를 Fig. 17-1에서 보여준다. 이 도표는 비교적 정확하고 보다 신속하게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1963년 Moorrees 등에 의해 연구된 방사선 소견에 의하면, 10개의 영구치의 석회화시기에 있고 믿을만한 지표가 마련되었다. 이들은 치아성숙(maturation)은 남성에서보다 여성에서 더 빨리 시작된다고 주장하였다. 치아와 악골에 나타나는 비교적 드물고 특별한 비정상적인 병변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치아 발육시기와 골격의 발육시기는 일치된다 따라서 손목내의 수많은 석회화 중심점들이 골격발육 연령을 알수있는 지표로 사용되듯이 차아 발육의 정도 및 발육시기는 이와 적합한 골격연령을 알수 있는 지표로 사용된다. 손목뼈(Carpal bone)의 발육 단계는 장기간 연대연령(Chronologic age)과 함께 골격 성장 연령과 비교되는 지표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정상발육 단계를 나타내는 도표들이 Greulich와 Pyle(1959) 등에 의해 고안되어졌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에 이환된 9½세된 환자의 손목(wrist)을 촬영한 방사선상을 Fig. 17-2에서 보여준다. 이 방사선 상에서는 정상적으로 3세에 해당되는 손목뼈의 발육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골격발육이 있을 경우, 치아의 발육정도와 손목뼈의 발육정도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치아발육은 손목발육에 비해 지연되는 정도나 촉진되는 정도가 덜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아연령과 연대연령의 차이가 손목연령과 연대연령의 치아만큼 큰 경우도 있다.

치아연령 결정시에 방사선에서 볼 수 있는 치아의 석회화단계는 치아의 맹출시기보다 더 의미가 있다. 치조돌기의 골질에 따라 맹출양상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치아연령 평가시 지치의 발육시기는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지치는 무시되어져야 한다. 전신질환의 지속기간과 심각도에 따라 방사선상 변화가 상당히 다양할 수 있고, 어느 질환의 특징적인 방사선 상도 처치방법에 따라 변화되어질 수 있다. 수많은 전신장애는 치료에 대해 다양하게 반응하므로 그로 인해 변화된 방사선상은 흔히 볼 수 있는 소견이라 하겠다.


Endocrine disturbances.

다른 골격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아 및 악골 또한 내분비 기능장애의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형성된 치질결손은 영구히 남게 된다. 이들 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양적변화, 즉 과다분비 혹은 소량분비에 의해 골조직과 치아의 성장 및 성숙이 장애를 받을 수 있다. 1965년 Wilkins에 의하면, 전신성장에 영향을 주는 내분비장애는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및 표적선(target gland)즉, 갑상선, 성선, 혹은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분비결여 혹은 분비증가에 의해 나타난다.

치아 자체에 초래될 수 있는 내분비 기능장애의 영향은 거의 전적으로 치아의 발육시기에 국한되며, 기능장애로는 성숙지연 혹은 성숙 촉진 등이 나타나게 되며 어떤 경우에는 구조적 결손을 초래하게 된다. 쥐의 부갑상선이 제거되었을 때 절치부에 치질결손이 발생되었다는 사실은 이들 부갑상선의 분비물이 칼슘대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한 Erdheim(1911)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Schour와 Massler(1943)는 치아들이 아주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내분비 기능장애 분석시 아주 가치가 있으며 정확한 동태 기록(kymogram)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일반적으로 내분비 기능장애가 있을 때 치아의 크기에는 별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왜소증이 있다고 해서 왜소치아를 갖지도 않을뿐아니라, 정상 크기보다도 훨씬 더 큰 거대치아를 나타내지도 않는다. 악골에 나타나는 내분비 장애의 효과는 신체의 다른 골격에 나타나는 효과와 유사하여 성장과 성숙시기 동안에 나타나는 내분비 기능장애에 의해 안면발육의 저하 혹은 촉진이 나타날 수 있다. 만일 성인에서 골격의 과잉발육이 일어난다면 하악은 정상적으로 계속 지속되는 과두의 연골 성장으로 인해, 계속 발육되어 하악골 말단비대증(acromegaly)과 같은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

만일 골조직의 성질이나 구조에 어떤 변화가 나타난다면, 다른 방사선상에서 보다는 구내 방사선 상에서 경미한 탈회나 골주양상의 최소한의 변화가 잘 관찰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내 방사선상이 아주 가치 있게 된다. Keating(1947)은 이환측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골조직의 방사선 관찰과 더불어 비이환측 치아측의 흑화도가 기준이 되어 비교될 수 있다는 장점을 들어 경미한 골격 이환을 인지하는데는 구내 방사선사진이 유용하다고 강조하였다. 일단 석회화가 완전히 일어난 후에는 국소적인 병변에 의해 이차 상아질이 형성된 경우나 이차적으로 국소화된 특발성 흡수가 일어난 경우를 제외하고는, 치아내에서 과석회증이나 탈회가 발생되어 치아들이 방사선 경도계(penetrometer) 혹은 흑화도의 척도로서 사용되어 골변화를 나타낸 증례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준다.

골주양상의 변화로 인해 방사선 흑화도는 감소되거나 혹은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Paget씨 질환에서와 같이 섬유형성증(fibrosis)이 나타내는 반면, 골다공증이나 구루병(rickets)과 같은 질환에서는 골주의 수가 감소되어 방사선 흑화도가 증가되어 나타나게 된다. 나타나는 변화들로는 하악하연의 피질골 두께의 변화, 상악동과 비와(nasal fossa)의 경계부를 나타내는 가느다란 방사선 불투과성선의 소실 및 정상 치조와를 나타내는 치조백선의 소실 등이 있을 수 있다.


Disorders of the pituitary Gland.

뇌하수체는 후방 두개기저부(cranial base)에 있는 터어키안(sella turcica)내에 위치하며 전방소엽과 후방소엽으로 나뉜다. 이는 수많은 호르몬이 생산, 저장, 분비를 조절하며, 이들중 몇몇 호르몬은 다른 내분비선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전방소엽(선하수체:adenohypophysis)에서는 신체 성장촉진 호르몬(Somatotropin:STH)과 갑상선 자극호르몬(thyrotropin : TSH), 그리고 부신피질 자극호르몬(Corticotropin : ACTH) 및 성선 자극호르몬(gonadotropin; 황체 자극호르몬-luteinizing hormone-LH; 여포 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on hormone- FSH), 그리고 흑세포 자극호르몬(melanocyte Stimulation hormone-MSH) 등을 생산한다. 뇌하수체 후엽(신경하수체: neurohypophysis)에서는 시상하부(hypothalamus)의 상안(supraoptic) 및 측뇌실 핵세포(para- ventricular nuclei)에 의해 형성된 혈관 수축제와 분만 촉진제(oxytocin)를 저장, 조질 및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Hypopituitarism

뇌하수체 전방소엽의 기능부전(ant. pituitary insufficiency)이 있는 경우, 성장촉진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신체 및 골격 등 모든 조직의 성장결여를 나타낸다. 어린시절 분비결핍이 있었을때 뇌하수체 왜소증(pituitary dwarfism)이 발생된다. 뇌하수체 전방소엽의 기능이 있는 환자에서는 안면의 뚜렷한 성장저하가 발생된다(keller, 1968; Spiegelet al., 1971). 일반적으로 악골들은 악골간에 그리고 골격의 타부위와 관련하여 대칭적이며 비례적으로 저하된 양상을 보인다. 미성숙한 안면골 성장양상(특히 골격성 개교증)은 Spiegel(1971) 등에 의해 설명되었던 바 25명의 환자에서 측두개 사진분석(cephalometric analysis)을 하여 전방안면 높이 (anterior facial height)보다는 후방안면 높이(post. facial height)가 훨씬 더 굴곡(flexion)또한 관찰되었다. 이때 치아의 크기는 정상이지만, 치아의 형성, 석회화및 맹출은 심각하게 지연됨을 볼 수 있었다. 비록 치아 발육은 과도하게 지연되지만 이는 골격(손목뼈)성숙보다는 덜하여(Keller, 1968), 치아성장과 골격성장에 미치는 호르몬 결핍효과의 차이를 예시한다.

전뇌하수체(ant. pituitary gland)는 부분적 혹은 완전히 소실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의 임상증상은 이환된 기능조직의 양과 종류에 의해 달리 나타나며, 다양한 정도의 신체 성장촉진 호르몬(somatotropin), 성선자극 호르몬(gonadotropin), 그리고 갑상선 자극호르몬(thyrotropin)의 결핍등이 있을 수 있어 수많은 환자에서 치아성장 및 골격 성장저하의 큰 차이를 보였다.


Hyperpituitarism

뇌하수체 기능항진증이 있는 경우 성장 호르몬의 분비증가로 인하여 호르몬의 과다 분비시 성장 능력을 갖는 조직들의 성장촉진을 볼 수 있다. 체질상(특발성) 혹은 기능적인 뇌하수체 신생물(호산성 선종: acidophilic adenoma)에 의해 성장 호르몬의 과다분비가 나타날 수 있다.


Giantism(거대증): 만일 대부분의 조직들이 활발하게 성장하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과잉기능이 있다면, 모든 신체 및 골격조직에 비교적 균일한 과다성장이 발생되어 비교적 잘 균형을 이루나 개개인에 따라서는 비정상적인 거대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Fig. 17-6은 구내 표준필름으로 촬영한 거대증환자의 구내 방사선상이다. 이때 치관들은 정상크기를 나타내며, 구치부의 치근들은 치관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과백아질증(hypercementosis)에 이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호르몬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능적 및 구조적 요구에 대한 반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치아들의 과도한 이개증(spacing)이 있는것으로 보아 악궁의 크기가 절대적으로 증가되었음을 뜻한다. 골주양상은 정상이지만, 전반적으로 방사선 흑화도가 감소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근기능 자극의 증가로 인한 골내 반응기전으로 생각되어진다. 동일 환자의 두개골을 촬영한 측방사진[Fig. 17-7]에서는 비대해진 두개관, 확대된 터어키안(Sella turcica), 돌출된 전두동(frontal sinus) 그리고 하악 전돌상을 볼 수 있다. 하악은 정상 성장 양상에서 촉진되어, 말단 비대증(acromegaly)이나 갑상선 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볼 수 있는 양상을 보인다.


Acromegaly: 말단비대증(성인에서 발병된 뇌하수체 기능항진증)이 있는경우, 성인에서도 성장능력이 지속되는 조직들 즉, 발가락, 손가락, 두개관(외측피질골) 그리고 하악 과두부의 성장이 일어난다. Weinmann과 Sicher(1947)에 의하면, 두개골에 발생되는 말단비대증의 주된 양상은 하악 비대증이라고 하였다. 이는 정상 성장 양상의 확대로 나타나며, 연골내골과도 같은 하악 과두의 성장증가로 하악지의 높이가 증가하며 하악체와 하악 정중융합부가 전하방으로 성장하여 길어지게 된다. 이는 치아 맹출 후(이차백아질 침착)에 발생되어 교합 접촉 상태는 유지되며, 하악체의 높이증가와 함께 치조골의 침착을 볼 수 있다. 치아와 치조골이 수직위치 및 III급 골격성 부정교합이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두개골에 대한 상악의 위치관계는 변화되지 않은 채 남아 있게된다.

1937년 Mortimer등은 일련의 박물관에 소장된 말단 비대증 두개골에 대하여 측방사진을 촬영한 결과 이 두개골 모두에서 하악전돌증을 보였다. 거대증에서와 같은 악궁의 길이 증가는 없었으나, 거대설(macroglossia)의 기능적인 효과로 인해 치아사이가 벌어져 주로 악궁의 전방부에 치아 이개(spacing)를 볼 수 있었다. 1933년 Korkgaus에 의하면 이러한 치아 이개증은 말단 비대증의 중요한 소견으로 이는 유전적 혹은 본태성 전돌증과 말단 비대증에 의한 전돌증의 감별점이 된다고 하였다. 말단 비대증의 구내 및 측두개 방사선상을 Fig. 17-8에서 보여준다. 측두개사진상에서는 비대된 터어키안, 하악, 전두동 및 후두골 융기(occipital prominence)를 보여주며 구내 방사선상에서는 모든 구치부의 과백아질증(hypercementosis), 모든 전치부및 상악 소구치부의 이개상 그리고 전반적으로 방사선 흑화도가 약간 감소된 정상적인 골주양상을 보인다.



Disorders of the Thyroid Gland.

갑상선에서는 thyroxine과 calcitonin을 분비하며,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갑상선 자극호르몬(thyrotropin)에 의해 갑상선의 기능은 되먹이기 기전(feedback mechanism)을 통해 조절되어진다. 에너지 조절 기능 이외에 thyroxine은 정상적인 성장 및 성숙에 필수적이다. 저칼슘혈요소(hypocalcemic factor)로 작용하는 Calcitonin은 칼슘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저하증(hypothyroidism)이 있는경우, thyroxine의 분비가 감소되어 발병시기와 결핍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양상의 성장 저하를 보여준다. 발병시기에 의해 나타나는 3가지 형태의 갑상선 기능저하증에는:

1.출생시 나타는 Cretinism

2.유아기와 아동기에 나타나는 유아성 점액수종(Juvenile myxedema)

3.사춘기 이후에 발병되어 어떠한 골격 성장 지연도 나타내지 않는 성인성 점액 수종(Adult myxedema)이 있다.

청소년기 이전의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치료되지 않으면, 다양한 정도의 안면 및 치아 성장 지연을 나타내게 된다. Spiegel등(1971)에 의해 연구되었던 12명의 유해성 점액수종 환자의 측두개 방사선상에서는 감소된 안면 높이, 미성숙한 안면 성장양상, 감소된 후방 두개골 기저부의 길이, 그리고 증가된 두개 기저부 굴곡상을 볼 수 있었으며, 치열의 발육 및 맹출은 지연되어있었다.

이러한 치아 발육지연은 15명의 다른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전뇌하수체 소엽의 기능부전에 이환된 29명의 환자의 치아 발육 지연정도와 필적될 만했다(Keller et al., 1970). 하지만 치아의 크기와 석회화 정도는 정상이었다.


Hyperthyroidism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을때,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된다. 어린시절에 발병되었을 때,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과도한 기능에 의해 골격 형성이 촉진된다. 이러한 변화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었을 때만 나타날 수 있다. 측두개 사진 연구(Keller, 1968; Spiegel et al., 1971)에서는 6명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이환된 소녀에서 과도한 안면 성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장시에 전방 안면 높이(ant. facial height)가 가장 과도하게 증가되어 골격성 개교증이 초래되었다. 이들 환자군에서 Spiegel등(1971)은 증가된 두개 기저부 길이(연골내 성장)및 굴곡을 밝혀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을 경우 치열의 형성, 석회화, 맹출이 심각하게 촉진되는 경우는 드물며 발병시기, 심각성 그리고 과다기능의 지속기간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난다. 15세 미만의 253명의 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중에서 5세미만이 단지 4.2%였으며, 10세에서 14세까지의 환자가 전체의 81% 에 해당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갑상선기능항진증의 발병율은 청소년기나 청소년기 바로 직전에 최고치에 이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가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에서 처럼 조기에 장기간 호르몬 불균형 상태를 갖게된다면, 심각한 치아의 문제점들이 문헌에서 더욱더 자주 거론되어졌을 것이다. Keller등(1970)은 15명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이환된 청소년 환자의 연구에서 단지 1명의 환자에서 심각한 치아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3명에서는 치아 형성 지연을, 그리고 나머지는 1963년 Moorrees등이 설정하였던 석회화 단계에 따르는 정상적인 치아 발육상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청소년기에 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이환된 경우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은 정상 또는 경미하게 진행된 치아 발육상태, 골조직의 탈회, 골격성 개교증 양상과 함께 나타나는 진행된 안면 성장 등이 있다. 이러한 병변이 장기간 지속되어 성인환자에서 볼 수 있는 전신적인 골조직 탈회 현상을 제외하고는, 이와같은 소견들은 사춘기가 지난후 발병된 증례에서는 볼 수 없다.



Disorders of Parathyroid glands.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주된 기능은 세포외 용액(extracellular fluids)의 칼슘이온과 인산 이온의 정상적인 농도 유지이다. 부갑상선 호르몬을 추출하게 되면, 파골 작용(osteoclastic activity)에 의해 칼슘과 인산이 유리되어지며 또한 요세관(renal tubule)에서 칼슘의 재흡수가 증가되며 인산의 재 흡수는 감소되어진다(Peacock and Nordin, 1973).


Hypoparathyroidism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을 경우 요세관에서 칼슘의 재흡수가 저하되어 저칼슘증(hypocalcemia)이 발생되므로 신경 근육의 흥분이 증가되어진다. 잠복성 단속적 긴장성 경련(latent tetany)이 양성 Chvostek and Trousseau소견으로 나타난다. 또한 요세관에서 인산의 재흡수가 증가되어 과인산증(hyperphosphatemia)이 나타난다. 이병변으로 인해 여러가지 형태의 발작성 장애(convulsive disorder)가 주로 나타나며 마비증상, 정신박약, 광 공포증(photophobia), 백내장(Cataract)그리고 피지루(Steatorrhea)가 이러한 내분비 장애로 인해 자주 나타난다.(Bronsky et al., 1958) 부갑상선 기능저하증(hypoparathyroidism)의 원인은 갑상선 절제시 부갑상선의 우발적인 제거 혹은 손상과 관련되거나 또는 특발성으로 나타난다. 특발성으로 발생된 경우, 손상받은 세포성 면역에 대해 이차적으로 만성 점막피부성 진균증(Chronic mucocutaneous candidiasis)이 병발하는 것으로 보아 자가 면역 효과로 보여진다.

특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idiopathic hypothyroidism)이 있는 경우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석회화는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1. 골 치밀도의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며, 골 흡수 및 형성이 감소된 현미경적 소견을 보인다.(Jowsey,1966)

2.피하조직(subcutaneous) 및 기저 신경절(basal ganglia)에 나타나는 전위성 연조직 석회화(ectopic soft-tissue mineralization)

3.법랑질 형성부전(enamel hypoplasia) 등으로 나타난다. 1933년 Albright와 Strock는 짧고 미발육된 치근 및 확대된 근관으로 나타나는 상아질 형성부전(dentinal hypoplasia)을 관찰하였다.

부갑상선 기능장애가 발생되는 시기와 연관되어 특정 치아에 석회화 결손부가 여러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구내 검사 및 방사선 검사는 발병되는 대략의 시기를 알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Pseudohypoparthyroidism

가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Pseudohypoparathyroidism)이 있을 경우, 임상적으로나 검사실 소견은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소견과 같거나, 유사하지만 이때 부갑상선 호르몬을 주입하여도 저칼슘증(hypocalcemia)이나 과다인산증(hyperphosphatemia)이 치료 되지는 않는다. 조직학적으로는 부갑상선들이 정상이거나 비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는 정상이나, 말단부 장기(요세관과 파골 세포)의 반응은 결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병변은 가족력을 가지나 원인은 알 수 없다(Vaughan and Mckay, 1975). 이환된 환자들은 대개 키가 작으며, 다른 골격성 비정상 소견에는 허리만곡증(bowing), 외골증(exostosis), 한개 혹은 그이상의 중수골(metacarpal)및 중족골(metatarsal)의 왜소증(shortening)을 볼 수 있다.

구내 방사선 소견은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양상과 같거나, 유사하여 법랑질 형성부전이나 짧고 미발육된 치근 및 이환치의 맹출지연이나 미맹출을 볼 수 있다. 소구치부와 제 2대구치가 가장 빈번하게 이환되는 치아들이다. 수개의 치아가 미맹출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Ritchie, 1965). Croft등(1965)은 이 병변에 이환 되어 법랑질과 상아질이 발육 부전을 보인 현미경적 소견을 보고하였다.


Hyperparathyroidism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은 원발성 및 후발성 병변으로 나뉜다. 원발성 병변은 생리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양보다 훨씬 더 많은 부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됨으로써 발생된다. 이와 같은 과잉분비는 실질적인 부갑상선 비대증(parenchymal hyperplasia)이나 부갑상선에 기능적인 양성 종양(선종: adenoma)이나 악성 신생물(암종: carcinoma)이 발생됨으로서 나타난다. 후발성 병변은 또 다른 대사장애가 있을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해 부갑상선 호르몬이 과잉 분비됨으로서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인산이 저류되거나, 칼슘이 고갈되는 대사장애에 의해 부갑상선의 비대증과 증가된 대사작용을 볼 수 있다. 다음부터는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대해서만 논의하기로 한다.

음식물로 섭취되는 칼슘의 양과 신장에서 소실되는 칼슘의 양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명백한 골 병변이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양상이 골격에 나타난 경우, 거의 일정하게 악골이 이환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Pugh(1952)는 이 병변에 이환된 환자들의 ⅓가량이 방사선상으로 진단 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골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나타나는 방사선 소견으로는 증가된 방사선 흑화도와 정상적인 골주양상이 미세한 망상 골주양상(fine lace-like pattern)으로 전환된 상을 보인다. 섬유증(fibrosis)이 일어난 부위는 골주양상이 거의 파괴되어 낭종강 형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방사선 투과성 상이 잘 경계 지워진 부위는 회복성 거대세포 병변(giant cell lesion)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특히 이 질환이 장기간 지속된 경우에는 악골내에 뚜렷하게 갈색 종양(brown tumor)이라 불리우는 거대세포 병변(giant cell lesion)이 발생되는 경향이 높다 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병변이 조기에 진단되기 때문에 이런 종양의 발생율은 감소되어지고 있다. Rosenberg와 Guralnick(1962)는 일련의 220증례중 4.5%정도가 악골내에 거대세포 병변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피질골에 나타나는 변화로는 비와의 경계부, 상악동 및 하치조관의 경계부를 나타내는 가느다란 방사선 불투과성 선의 소실과 정상적인 치조돌기의 피질골 및 하악하연의 피질골을 나타내는 보다 넓은 방사선 불투과성선의 비박 혹은 소실로 나타난다. 치조백선(lamina dura)은 골격 이환의 심각성에 따라 완전히 혹은 부분적인 소실을 보인다. 치아의 방사선 흑화도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으며, 이는 탈회된 골의 방사선 투과성 상과는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 1962년 Rosenderg와 Guralnick에 의해 연구되어진 증례들 중 40%에서 치조백선이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다. 치조백선의 소실과 함께 해당 치근들이 방추형(spindle shape)을 나타내는데 이는 발거된 치아의 방사선 소견과 유사한 상을 보인다. 치아의 치근을 둘러쌓고 있는 백아질은 상아질보다 방사선 불투과도(radiopacity)가 떨어지므로 치조백선이 소실되어졌을 때 점점 더 뚜렷치 않게 되며, 인접 주위골의 방사선 흑화도는 증가되어진다. 따라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을 때 치근이 방추형 상을 보이는 것은 백아질의 탈회 현상으로 보기보다는 착시(optical illusion)현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에서, 치조백선은 재생되며 방사선상에서 치근은 정상적인 형태와 외형을 되찾는다.



Disorders of the Adrenal gland.

부신(adrenal gland)들은 각 신장들의 상극(superior pole)상방에 위치한다. 각 부신들은 두가지 기능적인 요소들을 갖고 있는데, 이는 부신 피질(adrenal cortex)과 부신 수질(adrenal medulla)이다. 부신 수질은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으로 이루어지는 Catecholamine을 분비하여 교감신경계의 후신경절 신경호르몬 매개체(postganglionic neurohormone mediators)로 작용한다. 부신 피질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수많은 Steroid합성물을 분비하여, mineralocorticoid는 용액과 전해질의 균형 유지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glucocorticoid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신피질에서는 또한 사춘기 동안에 이차적인 성적 발육에 영향을 주며, 골격 및 체세포 성장(somatic growth) 및 성숙과정을 진행시키며, 골단부(epiphyseal) 석회화를 촉진 시키는 androgen을 분비한다.

부신의 호르몬 분비 변화에 의해 야기되며 방사선상으로 뚜렷한 구강내 변화를 보이는 질환들로는 Cushing씨 질환과 부신 생식기 증후군(adrenogenital syndrome)이 있다. 생리적 요구량이상으로 Corticosteroid가 주입되어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외인성 hypercortisonism에서도 이와같은 구강내 변화를 볼 수 있다.


Adrenogenital Syndrome(Incomplete Sexual Precocity)

부신-생식기 증후군이 있는 경우 Cortisol의 생합성 실패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부신 피질 비대(adrenocortical hyperplasia)에 의해서나 혹은 부신피질에 양성 혹은 악성 종양의 존재로 인해 부신의 androgen분비가 증가되어진다. 성인에서는 이러한 androgen의 과다 분비로 인해 남성은 여성화, 여성은 남성화되어진다. 선천적인 형태에서는 조기 성장 및 성숙이 일어나고 가성 반음양증(Pseudohermaphroditism)이 나타나기도 한다. 치료를 늦게 받거나 치료받지 않은 어린환자에서는 어리나이에 뚜렷한 성적, 체세포적, 골격 발육을 보이나 골단성(연골내)성장 부위(epiphyseal [endochondral] growth site)가 조기에 봉합되어버리기 때문에 결국은 키가 작게 된다. 수많은 저자들이 이 질환 환자들의 과도한 치아발육에 대해 보고하였지만(Garn et al., 1965; Gorlin et al., 1960; Wagner et al., 1963), Sklar(1966)와 Keller등(1970)이 연구한 24명의 부신-생식기 증후군 환자에서는 정상적인 치아 발육을 보였었다. Sklar는 치열이 골격 및 성적 발육을 매우 촉진 시키는 요인에 의해 별로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4명의 뒤늦게 치료된 환자에서 약 2년정도 진행된 발육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 요인들이 치아 발육을 촉진시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Fig. 17-17은 부신 피질 비대증과 가성 반음양증에 이환된 9세된 소녀 환자의 구내 방사선상으로 상당량 진행된 치아 발육상을 보여준다. 이환자는 17- Ketosteroid가 24시간당 56.4mg씩 분비되어 골격(손목뼈)성숙정도가 16세 소녀의 성숙정도에 해당될 정도로 과도한 진행 양상을 보였다. 제 2소구치와 제 2대구치의 치근단이 협착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아 연대 연령보다 3-4년 빠른 12-13세의 치아 석회화 연령을 보임을 알수 있었다.


과도한 부신 androgen이 안면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Cohen(1959)과 Seckel(1950)은 androgen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환자에서 진행된 안면 성장에 관한 보고를 하였다. 하지만 부신-생식기 증후군에 이환된 8증례의 측두개 사진 분석(Keller, 1968)에서 한 증례를 제외한 나머지 증례에서는 정상적인 안면 성장을 보였다. 이 한 증례는 두개 기저부에 대한 하악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상당히 전방 전위된 위치 관계를 보였다. 동일한 환자군을 평가하였던 Spiegel등은(1971) 상악에 대한 하악의 전방위치 관계뿐만 아니라 두개 기저부의 뚜렷한 성장및 증가된 골곡상을 관찰하였다. 이는 안면의 중간부(middle portion)에 나타나는 내점막성 골화(Intramembramous ossification)와는 아주 달리 두개 기저부와 하악 과두에 형성되는 내연골성 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에 대한 androgen의 선택적 효과라고 여겨진다.


Cushing's Syndrome

Cushing씨 증후군은 부신피질 비대증(adrenocortical hyperplasia)이나 부신피질에 나타나는 종양에 의해 glucocorticoid의 분비가 증가되는 것이 특징이다. 부신피질 비대증은 기능성을 갖는 호염기성 뇌하수체 선종(basophilic pituitary adenoma)이나 시상하부에서 부신피질 자극호로몬의 분비 요소가 증가함으로써 부신 피질 자극호르몬 분비가 증가되어 이차적으로 발생된다. 이때에는 비정상적인 탄수화물대사작용(비만), 골격 및 체세포 성장 지연, 그리고 감소된 근육형성이 다양한 정도로 나타난다. Glucocorticoid의 과다 분비량과 그 지속시간에 따라 감소된 유골(osteoid)형성 및 탈회현상을 또한 볼수 있다. 1950년 Levine과 Weisberg에 의하면 Cushing씨 증후군이 있는 경우 전반적인 골 탈회현상이 여성에서는 64%, 남성에서는 75%가 발생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골괴(bonemass)의 감소 현상은 주로 골반(pelvis),늑골, 척추에서 발생한다. 악골에서는 적절한 연구가 행해질 수 없었기 때문에, 악골에서 발생되는 상대적인 골변화 발생률은 알 수 없다. 하지만 Fig. 17-20의 방사선상에서 볼 수 있듯이 악골내에 증가된 방사선 투과상을 볼 수 있었다. 이들 사진은 척추골 부위에 전반적인 탈회현상과 함몰성 골절(compression fracture)을 보이는 47세된 여자 환자의 사진상이다. 이 사진에서는 피질골의 비박과 함께 양측 악골의 균일한 탈회상을 볼 수 있었고 또한 상악동의 경계부를 나타내는 방사선 불투과상 선의 부분적인 소실을 볼 수 있었으며, 치조백선도 이환된 상을 보였다.


Hypercortisonism

Hypercortisonism이란 용어는 장기간 동안 생리적인 요구량 이상으로 Cortisone이나 합성 부신피질 호르몬이 주입되었을때 나타나는 효과를 의미한다.(Slocumb et al., 1957) Cortisone의 과량주입이나 새로운 합성 동소체(synthetic analysis)의 과량주입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로서 방사선상에 서로 다른 정도의 균일한 방사선 투과상으로 나타난 골 형성 감소가 나타난다. 임상적으로는,척추와 골반이 자주 이환되며(Soffer, 1965), 이환골은 병적골절을 일으킬 정도로 유약해진다(Curtiss et al., 1954). Cortisone은 3부위에서 골대사에 영향을 준다. (1)골조직자체 (2)요세관(renal tubules) (3)위장관, 골내 변화는 유골(osteoid)형성 감소, 그리고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crystal)이 침착되는 단백질 기질의 감소로 발생된다. Cortisone의 주입으로 또한 요세관을 통한 인산의 분비증가를 볼 수 있다. 떠한 칼슘의 배변 배설이 증가됨에 따라 위장관으로부터의 칼슘흡수가 제한 될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 골주양상은 두께와 수에 있어 감소된 양상을 보인다. 악골내에서 hypercortisonism의 효과는 방사선적으로 미세하고 뚜렷치 않는 골주양상과 치조백선과 같은 얇은 피질골판의 비박 혹은 소실로 나타난다. (Stafne and Lovestedt, 1960)이러한 소견들은 8년동안 지속적으로 생리적 요구량이상의 Corticosteroid를 주입 받았던 45세된 남자환자의 구내 방사선상에서 관찰 할 수 있다[Fig.17-21]. 외인성 hypercortisonism에서 볼수 있는 방사선상 변화 양상은 내인성 hypercortisonism(Cushing씨 증후군)의 소견과 유사하거나 동일하여, 균일한 방사선 투과상의 증가와 피질골 비박을 볼 수 있다.


Disorder of Pancreatic Hormone Secretion

췌장(pancreas)은 내분비 기능과 외분비 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내분비 기능은 Langerhans섬에서 분비된 insulin과 연관이 있다. 생물학적으로 효과적인 insulin분비 결여 혹은 감소로 탄수화물 대사장애인 당뇨병이 발생된다. 이러한 당뇨병이 있는 경우 특징적으로 고혈당증(hyperglycemia), 뇨당증(glycouria), 대뇨증(polyuria), 대식증(polydipsia)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장애로 나타나며 또한 전신적인 맥관질환(당뇨성미세혈관증: diabetic microangiopathy)이 발생된다. 탄수화물 대사작용에 췌장보다는 내분비선들이 더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든 당뇨병 질환이 Langerhans섬의 결손에 의해 발생된다고는 볼 수 없다(Drash, 1975).

당뇨병 자체는 치주질환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나 혈당농도가 200mg/dl이상으로 증가된 환자에서는 치주질환의 발병율이 증가되며 또한 심각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Vnited State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969). 또한 치주조직내에 모세 혈관의 기저막이 비후되고 파열되는 당뇨성 미세 혈관증이 있는 경우, 이러한 치주염 환자의 효과적인 처치를 하기 위해서는 시술 방법이 변경되어져야 한다. 1970년 Frantzis는 당뇨병이 있을 때 혈관변화로 인해 치주조직이 치주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하였으며 또한 당뇨병과 연관된 치주질환이 있을시 이러한 혈관 변화가 원인 요소로 작용하여 병적 골 흡수를 시키게되고, 연조직 감염의 심각성이 증가되어진다고 하였다. 12개의 유년형 당뇨병 증례에서는 방사선상에 치주염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Keller 1968). 하지만 대사장애가 일어나서 혈관 변화가 장기간동안 계속될 때까지는 임상적으로 치주염이 감지되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Fig. 17-22는 12년 동안 당뇨병으로 진단 되어졌던 18세된 남자환자의 구내 방사선상이다. 이때 전악에 걸쳐 과도한 치조골 파괴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이 환자에서 잔존 치조골이나 기저골에 과도한 방사선 불투과상을 나타내는 것은 첫째로는 당뇨병시 혈관 변화로 인한 감소된 맥관계로 볼 수도 있고(Frantzis, 1970), 둘째로는 장기간 지속된 패혈증(sepsis, 치밀화골염)으로 인한 맥관 감소 양상으로도 볼 수 있다.



Disorders of Gonadal Hormone Secretion

남성에서 정충 발생 및 여성에서의 난자 형성과 같은 일차 성적 발육은 뇌하수체 성선자극 호르몬(pituitary gonadotropins: 여포 자극 호르몬; follicle-stimulating hormone)에 의해 조절되어진다. 남성에서 이차적인 성적 발육은 뇌하수체 황체호르몬(pituitary luteinizing hormone)의 지배를 받는 고환의 간질세포(testicular Leyig cell)들에 의해 생산된 androgen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절된다. 여성에서의 이차적인 성적 발육은 뇌하수체 여포자극 호르몬의 지배를 받는 graafian여포에서 생산되는 estrogen에 의해 조절된다.

대부분의 원발성 성선장애는 성선의 태생기 발육 결여로 인한 성선의 무형성(aplasia), 형성부전(hypoplasia), 혹은 이형성(dysplasia)으로 나타난다. 후속성 성선장애는 뇌하수체 및 시상하부 장애로 인한 뇌하수체 성선자극 호르몬의 결여로 나타난다. 성선 호르몬의 불충분이 사춘기 이전에 발생하는한 골격발육에 뚜렷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유환관증(enuchoidism)이라는 용어는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은 성인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이들은 장기간 지속된 골단 성장으로 인해 키가 크다. Schour와 Massler(1943)는 유환관증성 거안증(giant face)을 외형은 어린이 같지만 그 크기가 아주 크다고 설명하였다. 성선 이형성증(gonadal dysgenesis: Turner씨 증후군)과 같은 원발성 성선 장애로 인해 여러가지 양상의 체세포 비정상이 나타나며,이들중 작은 키가 주로 나타난다. 또한 경추골의 융합(fusion), 외반주(cubitis valgus), 손목뼈의 기형, 단지증(short fingers and toes) 등의 여러가지 형태의 골격 비정상이 나타난다. 주로 발생되는 두개골 비정상소견으로는 소악증(micrognathia)과 bradycephalia가 나타난다. 성선 호르몬이 치열의 발육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Muracciole(1956)은 거세된 쥐(Castrated mice)에서 정상 치아 맹출을 관찰하였다. 1966년 Sklar는 성선 무형성증의 일종인 Turner씨 증후군에 이환된 7명의 환자에서 치아 발육이 정상이거나 약간 지연된 상을 관찰하였다. 동일 환자군에 대한 측두개 사진분석을 한 Speipel등(1971)은 안면골과 두개 기저부 성장에서는 최소량의 발육지연을 보인다고 하였으나 이때에는 전 후방지표로서 상악골에 대한 하악골의 돌출부가 사용되어졌는데 이들은 두개 기저부와의 관계에서 볼 때 발육지연이 된 양상을 보인다. Seipel(1954)등은 과량의 testosteron을 주입 받은 원숭이에서 부정교합과 가성 돌출성 측모(pseudoprognatic profile)로 나타나는 안모 발육장애를 보고하였다. 이들은 종합적인 평가에서, 이들 동물에서 저작근과 설근에 비대증이 발생하여 궁극적으로 하악의 위치를 변경시킨다고 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거세된 원숭이에서는 약간 돌출된 협골궁(Zygomatic arch)을 제외하고는, 안면 성장변형은 발생되지 않는다.


Precocious Puberty.

이러한 조숙성 사춘기(Precocious puberty)란 용어는 소녀에서는 9세 이전, 소년에서는 11세 이전에 각각 성적 발육이 시작되는 소녀, 소년들에만 적용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양상은 원인을 알수 없는 특발성(완벽성;complete, or 체질성;constitutional)형태로 비정상적으로 조기에 활성화되는 정상적인 시상하부, 뇌하수체, 성선 및 부신의 기전이 시작됨으로써 발생되어진다. 일차 및 이차 성적 발육은 정상 양상을 따른다. 남성에서는 정충 발생이 일어나고, 여성에서는 난소형성 및 월경주기가 이루어져 임신이 가능하게 된다. 신경성 조숙성 사춘기는 성적 성숙시기에 중추 신경계의 병변이 발병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발성 조숙성 사춘기와 유사하다.

미숙성 혹은 비체질성 조숙성 사춘기의 원인에는 난자와 정자 종양이나 부신의 과증식 혹은 부신 종양에 의해 주로 나타난다.(See Adrenogenital Syndrome) 이들 환자들에서는 성선 및 부신성 androgen이 뇌하수체 성선자극 호르몬(pituitary gonadotropin)의 분비를 억제하여, 정충 발생(spermatogenesis)이나 난자형성(ovulation)이 일어나지 않는다.

체질성 조숙성 사춘기에 이환된 환자에서는 골격 성장이 과도하게 촉진되나, 치아 발육은 정상이다(Keller et al., 1970). 하지만, 동일한 병변으로 진단되어 어린나이에 medroxyprogesterone acetate를 주입받은 몇몇 환자들에서는 상당량 진행된 치아 발육 상태를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은 증례는 Fig. 17-23에서 보여준다. 이 9세된 소녀환자는 이미 2세에 완벽한 성적 성숙이 이루어져 2½세부터 medroxyprogesterone을 주입받기 시작하였다 .검사시에 그녀의 연대 연령은 9세였으며 골격(손목뼈 )성숙 연령은 15세였으며, 치아 발육정도는 제 2대구치와 제 2소구치의 치근이 협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 12-13세에 해당되었다. 안면 성장 또한 그녀의 연대연령과 비교시 상당량 진행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Spiegel등(1971)과 Keller(1968)는 체질성 조숙성 사춘기에 이환된 연대 연령에 비해 안면 성장이 진행된 양상을 보이는 13명의 여자 환자에 대해 보고하였다. 안면성장 정도와 골격성숙 정도를 비교해 볼때 골격 성숙 정도가 상당히 진전되어 있는 반면, 안면 성장 정도는 상당히 지연되어 있는 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이들 환자들에서는 조기에 사춘기 성장은 맞았으나 그 지속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여겨진다. 골격의 길이는 조기에 성숙이 이루어진 성인들과 유사하게 감소되어졌음을 볼 수 있다. 상악에 대한 하악의 전방 위치는 양 환자군 모두에서 볼 수 있었다. 성인 두개골에서는 전형적인 양상으로 유치를 함유하는 상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다시 한번 골격 발육과 성숙을 가속화시키는 호르몬들에 대한 치열의 상대적인 면역성이 강조되어진다.

Fig. 17-24는 과거에 신속한 성장과 성적 성숙을 경험했던 5¼세된 소년의 방사선상이다. 절치부의 형성 및 맹출 양상은 2년정도 앞서 있었지만, 소구치부와 제 2대구치의 형성 및 석회화 연령은 그 자신의 연대연령에 일치되는 것으로 보아 개개 치아에 대한 호르몬이 각각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elayed puberty

지연된 성적 성숙은 소년과 소녀에서 각각 다른 정도로 발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소년에서 더욱더 호발된다. 궁극적으로 적절한 성숙이 이루어진다는 사실로 보아 이들 환자의 주된 문제점이 호르몬 분비양보다는 분비시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연된 사춘기는 종종 가족력을 보인다. 이들 환자의 대부분은 대개 평균 신장보다도 작은 키를 보이는 어린이 환자였으며 골격 발육 정도는 2-4년 정도 지연되어 있었다. 사춘기에 맞추어서 체세포 성장은 신속하게 진행되어지거나 장기간의 지속적이고 완만한 성장과 함께 점진적인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많은 환자들은 결국 완전한 성인 신장에 이르게 되나 나머지 환자들은 작은 신장을 나타내기도 한다.

치아 발육은 아주 심하게 지연되기도 한다. Keller 등(1970)이 연구한 환자에서는 치아 발육 지연정도가 골격 성숙 지연 정도와 같거나 더 큼을 보여주었다. 이 환자군에서는 평균 치아발육 지연정도가 2.3년인데 반해 유년성 점액수종에 이환된 환자에서는 3.3년, 그리고 특발성 전방 뇌하수체 형성부 사진 분석에서는 연대 연령에 비해 안면 성장 정도가 저하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전방 안면 높이에 비해 후방 안면 높이가 훨씬 더 이환된 상을 보여주고 또한 미 성숙된 골격성장 양상을 그대로 보여준다(Spiegel et al., 1971).

Rickets.

구루병(rickets)이 있는 경우 유골의 석회화가 완전 실패되어 골조직내에 전반적인 방사선 투과성 병변을 보인다. 이러한 석회화 결여(구루병)는 서로 관련이 없는 여러 대사장애에 의해 나타난다. 이러한 대사장애들 중에는 섭식성 비타민D 결핍증(dietary vitamin D deficiency), 요세관 기능저하(renal tubular dysfunction; 비타민D 내성구루병:vit. D-resistant ricket; 저인상혈증: hypophosphatemia), 만성 신장형성 부전증(chronic tenal insufficiency; 신장성 구루병:renal rikets), 감소된 alkaline phosphatase작용(저인산증), 비흡수성 증후군(malabsortion syndromme; Fraser and Salter, 1958) 등이 있다. 원인에 관계없이 구루병의 임상증상은 방사선상에서 치밀골(치조백선,치조돌기, 비와 치밀골, 상악동 치밀골, 하악하연 치밀골, 하악관 치밀골)의 균일한 비박이나 결여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또한 해면골의 골주양상의 균일한 변화(비박 혹은 소실)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Vitamin D-Deficiency Rickets

섭식성 비타민D 결핍으로 인한 구루병은 고도의 사회경제력을 갖춘 나라에서는 흔히 발생되는 질환이 아니다. 비타민 D가 결여된 음식물을 섭취하고 또한 태양으로 부터 자외선을 노출 받지 못한 경우 임상적인 구루병 양상을 보이게 된다. 경미한 비타민 D결핍성 구루병에 이환된 수많은 환자에서 태양 빛에 노출시킴으로서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구루병에 의한 골격 변화와 함께, 법랑질 형성부전, 상아질 이형성증, 백아질 형성결핍등의 치아 장애가 나타난다. Follis(1943) 등은 비타민-D 결핍성 구루병이 3개월에서 부터 3세에 이를 때까지 가장 호발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령군에서 법랑질 형성부전이 비교적 호발하며, 이는 이환치의 맹출전에 방사선상에서 판독되어 질수 있다[Fig. 17-26]. 법랑질 형성부전은 국소적인 장애요인과 전신적인 장애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Vitamin D-Resistant Rickets

(Hypophosphatemia)

저인산혈증(Hypophosphatemia)이란 비타민D의 치료량에 내성을 갖는 구루병의 일종이다. 이때 혈청 칼슘농도는 거의 항상 정상 범주내에 있으나 혈청 인산농도는 일반적으로 낮다 이러한 저 인산 농도의 소견은 요세관에서부터 무기질 인산의 재흡수가 감소됨으로써 이차적으로 나타난다. 전반적인 유골(osteoid)의 석회화 부전으로 인해 과도한 성장 저하와 골 기형을 나타내 전형적인 구루병성 방사선 변화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임상적으로는 1-2세 혹은 그 이후까지도 관찰되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병변은 거의 가족력을 갖는다. 대개의 경우 이는 우성 형질에 의해 유전되어지는데, 몇몇 여성의 산발적인 증례에 있어서는 성염색체 우성 유전에 의한다고도 한다(Winters et al., 1958).

구강내 소견으로는 자발적인 치성 농양의 높은 발생율과 함께 상아질 형성의 양적, 질적(구간 상아질;interglobular dentin) 결손을 보이며(Tracy et al., 1968,1971), 법랑질 형성부전(Gigliotti et al., 1971), 확대된 치수강 및 치근단 석회화와 폐쇄지연을 볼 수 있다.

치성 농양의 병인은 확실치는 않으나 미세 법랑질 혹은 상아질 결손으로 인한 치수병변에 의해(Harris and Sullivan, 1960) 혹은 백아질 형성 결여로 인한 치주병변에 의해 발생되어질 수 있다고 한다. 방사선적으로는, 이러한 골 병변은 매우 광범위하며 미만성의 경계가 불확실한 병소부로 나타나며 이와 함께 전체 치근면이 이환되는 것으로 보아 치수병변으로 보는 것보다는 치주 병변으로 볼 수 있다.

치수강은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확대된 상을 보인다. 강력한 비타민D 투여후에는, 치수강벽이 새로이 형성된 이차 상아질의 과도한 석회화로 인해 비정상적인 방사선 불투과상을 보이게 된다.


Osteomalacia

골연화증(osteomalacia)이란 골격의 선상 증식(linear growth)이 중단후에 발생되는 단순한 구루병이다. 거의 모든 골연화증은 장관(intestinal tract)에서부터 비타민 D와 칼슘 흡수장애에 의해 나타난다. 또한 이는 성인성 복부 질환이나 췌장의 낭종성 섬유증 혹은 담관(bile duct)의 기능 장애에 의한 지방변에 의해 나타나는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장애로 발생되기도 하며, 배변으로 대량의 비타민 D와 칼슘이 배설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장기간에 걸친 흡수장해는 골연화증을 유발시킨다(Follis, 1966). Pugh(1951)는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탈회되며, 가끔 골주양상이 소실되는 방사선상을 기술하였다.

이 질환은 치아 발육이 완전히 끝난 후에 발생되기 때문에 치아는 이환되지 않지만, 치아의 지지골은 다른 골조직에서와 유사하게 구루병성 변화를 보인다. Fig. 17-29는 포말상 연변(sprue)에 이환된 56세된 환자의 구내 방사선상으로 악골에 균일한 방사선 투과상의 구루병성 변화를 보인다. 상악동과 비와벽을 나타내는 가느다란 방사선 불투과상의 선은 거의 완전히 소실되어져 있고, 치조백선은 희미한 자취만을 구별할 수 있다.


Renal Rickets and Renal Osteodystrophy

만성 사구체 및 요세관의 기능 장애(chronic renal glomerular and tubular dysfunction)로 인해 어린이에서는 구루병의 임상적인 양상이 나타나고, 성인에서는 골연화증이 발생된다. 세포내 칼슘 농도의 감소로 인해 과도한 고인산혈증(hyperphosphatemia)이 발생된다. 저칼슘혈증이 나타나게 되면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어 이차적으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 발생되어진다. 하지만 조직학적으로는 이러한 골 병변은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특성과 닮게 되며, 구루병에서 볼 수 잇는 유골의 석회화 부전은 볼 수 없다.(Harrison, 1961)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대한 보상작용이 전형적인 방사선적 변화로 나타난다(Walsh and Karmiol, 1969).

신장성 구루병(renal rickets)이 아동에서 발생시, 특징적인 소견으로 단신(short stature), 구루병성 골격기형 그리고 치열의 발육 및 석회화 저하를 볼 수 있다. Fig. 17-30은 신 기능장애 및 골격성 구루병에 이환된 14세된 소년의 구내 방사선상이다. 하악 제 2대구치 석회화 부전을 명백히 볼 수 있다. 비와와 상악동 그리고 치조와(치조백선)를 나타내는 치밀골이 불명료하거나 소실된 양상도 볼 수 있다. 양 악골의 골주양상은 아주 미세하고 균일한 방사선 투과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골주양상과 일치된다. Fig. 17-31은 장기간에 걸친 신 기능장애로 인해 이차적으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이환된 성인의 구내 방사선상이다.(부갑상선 비대증)몇몇 부위에서 석회화된 양상을 명확히 볼 수 없는 일상적인 노출시간으로 촬영된 방사선상에서는 악골의 탈회 양상이 아주 광범위함을 볼수 있었고, 또한 미세하게 석회화된 골조직도 관찰할 수 있도록 노출시간을 아주 감소시켜서 촬영한 방사선상에서는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방사선 불투과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환자에서는 치조백선을 포함한 치밀골 외형이 완전히 소실된 양상을 볼 수 있었고, 또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골주양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Hypophosphatasia

(Low-Phosphatase Rickets)

저인산증(Hypophosphatasia)이란 태아 대사장애의 일반적인 분류에 속하는 유전성 질환이다. 이는 골조직의 석회화부전, 감소된 alkaline phosphatase작용, 유치의 조기탈락, 뇨중에 증가된 phosphatidylethanolamine의 분비로 특징 지워진다. 혈청 인산 농도는 정상이나, 심한 상태의 환자에서 혈청 칼슘 농도는 증가된다. 방사선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골내 변화는 구루병의 양상과 아주 유사하다. 이 질환은 단순한 열성 형질에 의해 유전된다고 생각되어진다(Baysal, 1965).

임상 증상은 이 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출생시 태아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그후 수년이 지날때까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동기에 나타나는 첫소견으로는 성장결여, 소아성 부정교합, 유치의 조기상실이 있을 수 있다. Beumer등(1973)이 검사한바에 의하면 소아성 저인산증에 이환된 7증례의 환자중 5환자가 유치의 조기 상실을 주소로 내원하는것으로 보아 이 병변은 잠행성 병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Bruckner et ak.,1962).

현미경적으로, 탈락된 치아는 확대된 치수강을 가지며, 백아질이 소실되어 있거나, 거의 석회화되지 않는 백아질 형성부전 및 전구상아질(predentin)의 폭은 아주 넓고, 구간상아질(interglobular dentin)의 양이 증가되어 있는 상아질 형성부전증을 보인다.백악질결손부로 인해 의심할 여지없이 치아가 조기탈락된다.

1973년 Beumer등과 Kjellman등은 염증성 치주질환이 없는데도 수평적인 치조골 소실을 보이는 두 환자군들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심각한 골 상실은 백아질에 대한 치근막 섬유의 부착 실패와 백아질 형성부전으로 인한 기능적인 골조직 자극 능력 결여와 관계되어진다.

1964년 Baer등은 2명의 환자에 대한 구강내 소견을 보고하였다. 이들중 한명의 구내 방사선상[Fig. 17-32]에서 저인산증의 특징적인 소견은 확대된 치수강, 수평적 골상실, 그리고 절치부 조기탈락상을 보여주었다.


Cystinosis

Cystinosis란 세망 내피계(reticuloendothelial system)와 신장 및 홍채(cornea)와 같은 다른 조직내에 전반적으로 Cystine결정체가 침착되어짐으로써 특징지워지는 드물게 발생되는 선천적 단백질 대사 장해이다. Cystine이 침착됨에 따라 요세관에서의 인산의 재흡수가 저해된다. 계속적인 신장 장애로 인해 아미노산뇨(aminoaciduria)와 인산뇨(phosphaturia) 그리고 단백뇨(proteinuria)가 배설됨에 따라 성장 장해와 신장성 구루병이 발생되어진다. 이러한 소견이 발생되었을 때 방사선적인 골조직 변화상은 특별한 소견을 보이지 않고 다른 형태의 활성화된 구루병과 감별할 수 없게 된다. 이환치아의 발육및 맹출지연 양상은 명백하게 볼 수 있다. Nazif와 Osman(1973)은 3증례의 Cystinosis를 검토하여 모든 경우에서 다음과 같은 방사선적 변화를 기술하였다. 즉, 치아 석회화 연령의 지연, 치조백선 소실, 확대된 치수강 그리고 치근단 및 치근간 희박화(rarefaction)등이었다. 치간골 소실과 bell 모양의 절치 치근들이 두 증례에서 보였다. 게다가, calciferol 치료후 치조골의 hypermineralization이 나타났다.


IDIOPATHIC, SENILE, AN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골다공증이란 한기관으로서의 골체적 당 골조직의 결손을 말한다. 즉 조직학적 기준에 비추어 정상으로서 골파괴 내지는 골생성 기능의 이상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또한 골의 외형크기는 변화가 없다. 정상적으로 치밀골의 두께가 감소하고 골공(porosity)이 증가하여 망상 골조직에서는 골주 구조의 소실을 보일때 골량의 감소가 있다고 표현한다.

골조직내의 연령에 따른 변화는 명료한 양상을 띄어 완전 골격형성이 이루어지면 일단 골은 휴지기에 들어가 구조의 전환도는 떨어지며 피질골이 두터워지고, 치밀하여지며 완전히 석회화된다. 하지만 35세 이후에는 골량이 줄기 시작하여 그 경향은 사망시까지 지속된다. 평균 10년에 5-10%의 골량감소가 있다고 Heaney가 1975년 보고하였다.

노인성 골다공증은 골내 정상적 연령변화보다 훨씬 큰 골량의 소실이 특징이랄수 있다. 때문에 골절과 같은 합병증을 갖을 수 있다. 여성에 있어서는 50세에서 70세에 이르는 20년간 가장 큰 감소를 나타내며 그 이상의 연령에서는 그 정도가 비슷하나 덜 심한편이다.

X-선상에서 노인성 골다공증은 피질골과 치조백선이 얇아지고 골의 방사선 불투과성이 감소되며 골주구조가 엉성하여진다. 6세 환자에서[Fig. 17-34] 척추및 다른 골격에도 골다공성을 보이며 골내 변화상이 또다른 조건과 병행한다고 보아야한다. 이경우 부갑상선 기능항진증등 존재 가능한 전신적 원인은 없었다.미국내 모든 백인 여성들의 ¼에서 골다공증이 폐경기와 더불어 임상적으로 심각하게 발생된다는 사실이 이미 보고된바 있다(Jowsey, 1974).



Progeria(Hutchinson-Gilford Syndrome)

희귀한 질병으로서 왜소와 조숙한 노인성을 특징으로 한다. 보통 한살이전에 나타난다. 탈모및 치하지방의 소실 그리고 조숙한 동맥경화(arteriosclerosis)가 주로 나타나며 그외에 하악골의 후퇴, 매부리코(beaked nose), 부정교합, 치아맹출 지연 등이 나타나며 골은 작고 섬세하지만 골성숙의 정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Progeria가 발생되는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Talbot에 의하면 이 질환에 이환된 환자가 충분히 음식물을 섭취하였다할지라도 모든 열량이 성장과 피하지방으로는 전혀 남지 않고 소모되는 대사장애성 질환이라고 설명하였고, 대개의 경우 사춘기가 되기전에 환자는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Fig. 17-35에서 보여주는 X-선상은 10세 소녀로서 분만시 8½pounds의 몸무게를 가졌고 13개월에 이르기까지 성장및 체중이 정상이었다. 15개월에 이르기까지 유치는 맹출을 시작하지 않았다. 임상적으로는 하악 중절치만 제외한 나머지는 하악중절치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는 맹출되지 않았다. 악골의 크기가 작아 치아는 crowding이 있으며 정상맹출을 위한 위치에 비해 다양한 위치를 갖고 있다. 치아의 발육상태는 연령과 비교해볼 때 정상범주내에 있다. 하악 제 2소구치들이 선천적으로 결손되어 있다. 치아의 맹출이 거의 3-4년 지연되있는바 crowding에 의해 유치근의 정상흡수가 안되는 탓이라 보겠다.




Congenital, Developmental,

and Hereditary Abnormalities


Cleidocranial Dysostosis

쇄골의 완전 또는 부분적 형성부전이 있고 천문(fontanelle)의 골화가 지연되며 두개 안면골의 기형, 악골에의 이상 및 치아에의 이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때로는 타골의 지나친 성장 또는 발육정지를 보일수 있다. 이는 결정적인 유전 소인을 갖고 있다.

악골및 치아의 이상도 특징적이어서 유치근 흡수가 늦고, 다수 영구치 맹출이 안되며 과잉치가 생기고, 그리고 상악골의 저 발육등을 볼 수 있다. Rushton(1956)은 Cellular cementum의 형성실패를 보고한 바 있다.이에 준하는점은 이 질환에서는 hypercementosis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Hypertelorism

두안와간이 비정상적으로 넓고 nose가 넓어지는 등의 두개의 선천적기형이 특징이다. Washington(1957)에 의하면 비중격의 결여, 상악 치조골의 불완전한 발육, 하악지의 저 발육을 볼수 있다하였다.



Congenital Hemihypertrophy of the face (facial giantism)

난자(ovum)의 성장시 초기 발육이상에서 기인되며, 태생시 과성장을 보인다. 전신의 ½이 관련되며 hypertrophy는 흉부, 사지중 하나, 머리등 단지 어느 한 부분에 국한될수도 있어 이경우 Segmental hypertrophy라 부른다. Total hypertrophy의 경우는 근육, 골격, 혈관, 신경등 여러 계통에 걸친 과성장을 보인다. Hemihypertrophy에서 정신 발육부전은 15-20%를 보이며 그 가족력은 거의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안면부에서도 골및 연조직 모두 잘 이환된다. 뺨, 입술, 코, 귀, 혀에 이환되어 팽대를 보이며, 특히 혀에서는 이환부위의 표면이 불규칙하고 유두가 팽배되어 있다. 악골은 과성장을 보인다.특징적 치아 이상은 조숙한 발육내지는 맹출, 거대치아증,치아의 선천적 결여가 있다. 제 2소구치가 가장 빈번히 결여되며 정상부위치아보다 관련된 부위의 치아가 더 크다.


Facial Hemiatrophy(Hemihypoplasia)

선천적이기도 하며 후천적이기도 하다. 협골궁, mastoid process, temporal bone, maxilla, mandible의 저 발육내지는 다양한 정도의 형성부전을 보여 두드러진 안면부 비대칭을 초래한다. 이관(auditary canal)이 결여되며, 외이(external ear)가 조잡하거나 완전히 결여되기도 한다. Fig. 17-45는 하악체 일부와 하악지가 형성되지 않았다. Fig. 17-46은 facial hemihypertrophy에 비해 치아의 발육과 맹출이 지연되었다.

Osteopetrosis(Marble bone, Albers-Schönberg disease)

특징적으로 전골의 피질및 해면질부에 density가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뼈의 구조적 외형은 변함이 없다. 이러한 density의 증가는 osteoclastic activity에 의한 것이며 합병증에는 빈혈과 비장 , 간, 임파의 팽배가 있다.

골량구조의 무작위적 배열에 의해 골은 약하며 골절되기 쉽고, 감염에 대한 저항이 감소되어 치주내지는 근단부 감염에 의해 악골, 특히 하악은 골수염에 걸리기 쉽다. 임상적으로 (1)infantile, 또는 악성 (2)adult또는 양성의 두가지 형으로 분류한다. Infantile type은 정도가 심하여 치명률이 높고, adult type은 비교적 느린 진행으로 임상적으로 그 진행의 징후가 없을 수도 있다.또한 이 질환은 유전적성질이 뚜렷하다. X-선상은 균일하게 증가된 radiopacity를 보인다. 두개의 기저부가 두드러지게 비후하여지고 paranasal sinus는 협소해지며 부분적으로 없어지기까지 한다. 악골은 골수강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한 폐쇄를 보여, 희고 균일한 X-선상 소견때문에 "marble bone"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골의 경도에 의한 것은 아니다. 치아에서는 선천적 형태로 osteopetrosis가 영향을 주어 이상형성내지는 치근의 형성정지를 보이며 cementum이 거칠고 불규칙한 두께를 갖는다. enamel hypoplasia가 일어날 수도 있어 pit가 작은것으로 부터 치관의 큰 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관찰할수 있다. 전치아의 치근이 저 발육되거나 왜소해지기도 한다.


Osteogenesis imperfecta (Fragilitis ossium)

췌약한 골(brittle bone), blue sclera, deafness가 특징이며 뚜렷한 가족력 경향을 갖는다. ①Fetal, 또는 infantile form과 ②adolescent, 또는 tardy form이 있어 전자는 심하고 후자는 경미하다. 대개 골 성숙기나 사춘기가 되면 골절되는 경향이 줄어든다. 때로 Osteogenesis imperfecta는 dentinogenesis imperfecta와 병발하기도 한다. 치아 이상은 dentinogeneis imperfecta의 소견과 유사하며 반드시 전신 질환과 병합되어 나타나지는 않는다.

유전적 opalescent dentin에서와 같은 치아의 비정상 색깔과 상아질 이상이 다양한 정도로 나타난다. 비정상 색깔을 갖는 치아에서 치수강의 크기의 비정상적 감소는 볼 수 없다. 치근은 거의 정상적인 크기를 지니며, 유치가 영구치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아 이러한 점이 hereditary opalescent dentin과 감별될 수 있는점이 된다.


Achondroplasia

연골의 발육과 형성의 이상으로서 장골의 골단에서 성장이 결여되어 사지가 짧고, 심한 경우 가족성의 왜소증을 나타낸다. 또한 특징적으로 이마가 튀어나오고, 코가 내려앉으며, 상악의 후퇴증을 보인다.부정교합은 흔치않고 맹출의 지연 내지 맹출하지 않은것이 치아발육 이상으로 나타난다.


Ectodermal Dysplasia

특징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머리칼의 결여, 손톱의 이상, 땀샘의 결여, 부분적 또는 전체적 치아 결여를 들 수 있다. 치아의 이상정도는 전적으로 이 질환의 발생시기와 일치한다. 만약 유아기에 발생하면 total aplasia,유아기 후반기에 나타나면 유치는 영향받지 않은 상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몇몇 영구치는 형성에 실패할 수가 있다.

22세 남자의 X-선상에서 total dental aplasia를 볼 수 있다. 두 악골은 수직적 변위에서 저 발육을 보이고 발치후 완전 골흡수를 나타낸 무치악의 치조골과 유사한 상을 보인다.악골의 크기는 거의 정상에 가깝고 10세 소년에서 상악 측절치만 제외한 모든 유치가 남아있고 영구치가 발육된것은 상악 중절치, 견치, 제 1대구치등이며 하악은 견치와 제 1대구치만 발육되어있다.

Miscellaneous Disease

Syphilis

가장 두드러진 이상이 치아의 크기와 형태이다. Screwdriver-모양의 치관, 상악 중절치의 절단부에 notched되는 Hutchinson's tooth또는 mulberry molars가 선천성 syphilis에서 나타날 수 있다.이 치아들은 6-7세 이전에는 맹출하지 않지만 치관에 인정할만한 소견은 1살에 나타난다. X-선상에서 이를 조기 감지할 수 있어 유용하다.

선천적이거나 tertiary syphilis에서 골조직에의 감염이 올 수 있어 gumma는 국소적 골염이나 골수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악골에서 gumma는 주로 구개의 전방 부위에 발생하여 구개골을 파괴하고 비강내로 천공될 수 있다.


Histocytosis-X(Reticuloendotheliosis)

Letterer-Siwe disease, Hand-Schüller-Christian disease, Eosinophilic granuloma로 분류되어지며 이들을 통틀어 Histiocytosis-X라 명명한다.

위 3가지 condition은 각각의 특징적 소견을 갖는데

(1)Letterer-Siwe disease 는 급성으로 나타나며,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2)Hand-Schüller-christian disease는 전염성 질환으로, 안구돌출(exophthalmos) 및 당뇨병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3)Eosinophilic granuloma는 한개 혹은 다발성 악골병변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특징적인 구강내 소견으로는 치은에 염증및 종창이 발생되고 치아의 동요및 sloughing이 나타나며, 치조골이 파괴되고, 발치후 발치창의 치유가 지연되거나, 치유되지 않으며, 악골내에 osteolytic lesion이 나타난다. 이들 소견은 악골내에서 볼수 있는 양성및 악성종양등과 그 양상이 매우 유사하므로, 감염진단을 위해서는 Biopsy가 필수적이다. 300R을 초과하지 않은 최소한의 방사선 치료로 이 병변이 효과적으로 파괴되며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되풀이하여 조사한다.이와 같은 양으로 조사할 경우 발육중인 치열에는 거의 위해작용이 미치지 않는다. 이 병소를 제거하는데는 소파술만으로도 충분한데 이 술식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Solitary lesion인 경우에만 적응증이 된다.


Hand-Schüller-Christian disease

이 질환은 주로 어릴때 발생되며, 주로 골반(pelvis), 늑골(rib), 견갑골(scapulae), 두개관(calvaria) 및 악골등에 나타난다. 악골에 나타난경우, 주로 치근단부나 발생중인 치아의 치아 유두부에 호발한다. 이 병변이 확산됨에 따라 치음낭(dental crypt)이나 치조와가 파괴되며, 부분적으로 발생된 치아가 탈락되어진다.탈락 과정중 방사선학적으로 이 질환의 특징적인 소견인 치아의 유주상을 보이게 된다.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이 병변은 주로 older child나 성인에서 나타나며 , 한개 혹은 다발성의 양상을 보인다. 이 병변은 주로 골조직내에 한정되어 나타나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골조직 이외의 다른 조직에도 이환되어진다. 초기 병변은 악골내에서 볼수 있으며, 때때로 악골내에만 한정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Fig. 17-64(upper part) : 3년 8개월된 소년의 X-선상으로서 수개월동안 상악 양측 제 2유구치에 인접한 연조직에 염증성 종창을 보였던 환자로, biopsy에 의해 Eosinophilic granuloma로 판명되었다. 양쪽 유구치의 trifurcation부위의 골파괴상을 방사선상에서 볼 수 있으며, 치근을 지지하는 골조직의 파괴된 채로 남게 된다.이 병변은 방사선 치료에 의해 호전되어져 쉽게 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이환치의 치근은 노출되어져서, 방사선 치료후 4개월만에 발거되었다.그리고 방사선 치료후 11개월만에 이 병변이 존재하였던 치조골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Fig. 17-64, lower]. 우측 제 2소구치는 치배가 존재하고, 치관의 석회화가 시작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발육중임을 알 수 있으나,좌측에서는 치배의 존재를 볼 수 없는데 이는 병변으로 인하여 이미 파괴되어 버렸다고 간주된다.어린 시절에 조기 진단하여 방사선처치를 행함으로써, 상하악내 수많은 치아를 구할 수 있게된다.

치아들이 존재하는 성인 악골내에 이 질환이 발생되면, 특징적인 임상증상 즉, 과도한 치조골 파괴와 치아의 동요 및 발치후 정상적인 발치창 치유 실패와 치아의 Sloughing을 보이는 치주 병변이 나타난다.오직 한 부위만이 이환될수도 있지만 대개는 다발성 병변으로 나타난다.두개관이나 어떤 골격에 이 병변이 이환되어, 방사선검사에 의해 이 병변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 현미경적 검사가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