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과 임상

저랑 나이는 같지만 생일이 조금 늦은 만 47세 남자환자분을 소개합니다.
이분은 직업이 폭파전문가이며, 하루종일 폭파작업후에 저녁엔 꼭 술을 드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술드실 때만큼은 주위 동료분들이 잘 어울리시지만, 주무실 때 꼭 이를 가는 바람에
아침이면 주위 동료분들로 부터 항상 푸념섞인 미운 소리를 듣는다시며 치료를 원하셨습니다.

턱이 왼편으로 움직일 때 왼족 소구치에서 측방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는데,
아래 사진에서도 보시다시피 견치는 소구치와 같이 군기능을 시작하면서 도중에 잠깐
일을 안하다가 다시 일하는 것이 확인됩니다.

교합조정은 지난 4월 19일부터 시작하여 오늘 5월 13일까지 총 여섯차례를 시행했는데,
이를 가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조금 덜가는 것같다는 말을 주위로 부터 듣고,
본인 스스로도 양족 치아가 잘 맞는 느낌을 갖는다고 하셨습니다.

사진은 이를 가는 쪽을 실었으며 편의상 부위별로 모아서 소개드립니다.
잘 감상하시고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라도 글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치과의료인을 위한 게시판이며 일반인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홍성우 2007.03.19 88054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홍성우 2004.11.10 88992
153 (발췌) 견치를 인공치로 회복했을 때의 문제점은... 홍성우 2005.07.19 4154
152 아래 아티클에서 질문올립니다.(재료관련) 최성용 2003.10.10 4153
151 Food Packing file 조희송 2004.07.07 4150
150 [re] 아래 아티클에 관한 질문... [1] 홍성우 2003.11.19 4138
149 [re] 갑자기 궁금해서요 [2] 홍성우 2004.09.14 4132
148 미국에서 치료받은 환자분을 소개합니다. 홍성우 2004.04.07 4128
147 측면 사진입니다. file 이종권 2005.09.07 4121
146 (발췌) 중심교합시 조기접촉점을 먼저 제거해보았습니다. 홍성우 2005.07.12 4119
145 [re]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한 환자입니다. 홍성우 2004.07.13 4118
144 구치가 망가지는 이유에 대해... 홍성우 2004.05.14 4117
143 교합면입니다. file 이종권 2005.09.07 4116
142 Diastema 교합조정 file 조희송 2004.07.06 4112
141 견치가 지대치및 pontic 일때 교합에관해 문의합니다. 김애리 2004.01.13 4105
140 [re] Diastema Closure 홍성우 2004.09.14 4100
139 [re] edge bite 환자의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홍성우 2004.04.06 4098
138 [re] co시의 접촉관계에 관하여... 홍성우 2004.01.13 4098
137 [re] 사진에 대한 질문입니다. 조희송 2004.06.28 4097
136 co시의 접촉관계에 관하여... 이호민 2004.01.12 4095
135 [re] 교합안정장치 치료시에.......질문드립니다. 홍성우 2004.07.19 4094
134 [re] 유치열기의 open bite 홍성우 2004.07.19 4093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