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과 임상

확실한 악관절환자

2004.10.26 17:57

정유선 조회 수:4149 추천:42

안녕하세요?

처음 질문드립니다

20년전 대학병원 교정과에서 교정받은 cl2 div.1 입니다 46세 여자환자입니다
상하 중심선이 맞지 않고 입을 크게 못벌립니다
악관절이 치과치료시 탈구된적도 있고요 제 친언니입니다 간단한 충치치료도 늘 신중하게 해왔습니다
진료시 입을 크게 벌리지않도록 하고 쉬엄쉬엄하고요

학교 교사라 말을 하는 직업인데 피곤하면 말도 잘하기가 힘들고 어깨도 뻐근하고 팔도 저리다고 합니다
악관절과교수로 있던 동기에게 같이가서 진단도 해 보았는데 괜찮다고 해서
그냥 지내고 아주 큰 불편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46번 크라운 보철이 오래되어 새로해준 후 47번에 불편및 이가 흔들리는 느낌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47번교합을 조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지켜보고있으나 참으로 걱정됩니다
선셍님의  도움 기대합니다
제가 조만간 구내사진 올리겠습니다

교합조정만으로 해결할 수있을 지 , 스플린트가 필요할 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치과의료인을 위한 게시판이며 일반인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홍성우 2007.03.19 87749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홍성우 2004.11.10 88670
173 [re] 이갈이 환자의 치료에 대해 홍성우 2005.05.13 4167
172 군기능교합의 교합조정은 어떻게??? 윤기수 2004.03.30 4167
171 [re] 턱관절의 위치. 홍성우 2003.10.21 4162
170 (발췌) 지대치가 흔들리는 bridge와 임시장치 홍성우 2005.06.14 4161
169 [re] 위 환자분의 일주일후 상태입니다. 홍성우 2003.11.25 4158
168 [re]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한 환자입니다. 조희송 2004.07.19 4155
167 사진에 대한 질문입니다. 조희송 2004.06.21 4155
166 시린 이에 대해 조선일보가 소개하고 있는데, 그만 그 내용이... 홍성우 2003.10.31 4155
165 [re] 인접면을 올라 탄 보철물.. 홍성우 2003.10.22 4152
164 [re] splint 후 개교합이 되었는데.. 홍성우 2004.04.16 4150
163 [re] 치주가 좋지 않은 환자의 RPD에서. 홍성우 2003.12.15 4150
» 확실한 악관절환자 정유선 2004.10.26 4149
161 [re] 하전치부의 치석...(하전치 순면) 홍성우 2003.12.19 4148
160 구리에서 치과선생님이 오셨습니다. 홍성우 2003.11.28 4148
159 [re] 아래 314번 환자의 교합면 사진입니다. file 홍성우 2004.10.07 4142
158 갑자기 궁금해서요 안옥주 2004.09.14 4141
157 [re] 아직도 홍성우 2004.05.13 4140
156 감사합니다. [1] 류용현 2003.11.29 4140
155 교합조정에 대하여 - I [1] file 조희송 2004.09.04 4137
154 (질문입니다)치경부 마모증이있는 시린이 치료하기 조동원 2003.11.25 4133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