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과 임상

우문드립니다. 선생님.

2005.09.21 21:24

이종권 조회 수:4395 추천:6

임플란트는 선생님이 안 하시는데 임플란트 질문을 드려서 우문인 것 같은데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듣고 싶습니다.

오늘 선배와 통화중에 임플란트로 만들어진 canine은 구치부 protection을 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치주인대가 없기 때문에 canine이 guide시 더 많은 힘을
받아서 가급적 구치부와 splint해서 group function해야한다는 의견이였습니다.

선생님께서 생각하시기엔 어떠신지요?

임플란트 안 하시는 거 알지면 그래도 가지고 계신 개념은 있으실 거 같아 여쭤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치과의료인을 위한 게시판이며 일반인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홍성우 2007.03.19 89392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홍성우 2004.11.10 90389
253 전치부의 기능운동... 이예림 2003.10.02 5041
252 (12월) 홍성우 2006.01.31 5045
251 [re] 교합면 시림증상.. 홍성우 2003.10.15 5051
250 [re] 오늘 환자분입니다. [1] file 조희송 2004.07.06 5056
249 [re] 정면 사진도 추가합니다. 이종권 2006.12.09 5056
248 멀리서 오신 분의 교합조정사진입니다. 홍성우 2003.11.28 5065
247 [re] 저의 경험에 대한 조언과 질문하나. 홍성우 2003.10.14 5069
246 교합안정장치로써 치주치료를 하는 중입니다. [5] 홍성우 2004.03.19 5089
245 2005년 2월중 공보의대상 세미나 [1] 홍성우 2004.12.08 5108
244 상악절치사이가 점차 벌어지는 환자분을 교합조정중입니다 홍성우 2003.10.16 5119
243 [re] 안녕하세요.. 홍성우 2003.12.31 5123
242 (발췌) 상악 2대구치가 결손되면... 홍성우 2005.06.14 5126
241 선생님 질문 좀 드려요 [1] 이종권 2006.12.12 5146
240 치아를 다 묶으면 튼튼할까요? 홍성우 2003.10.08 5148
239 [re] 교합고경에 대해서... 홍성우 2003.11.25 5149
238 [re] 군기능시의 양상... 홍성우 2004.01.12 5157
237 [re] 아래 아티클에서 질문올립니다.(재료관련) 홍성우 2003.10.10 5164
236 견치가 도재가공의치로 회복된 군기능교합입니다. 홍성우 2003.10.15 5166
235 정말 놀라운 경험입니다. 선생님의 말처럼...요 [2] 송행은 2003.10.16 5179
234 (발췌) 치아파절, 치주염 그리고 abfraction 홍성우 2005.10.11 5185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