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과 임상

(발췌) 크라운 한개를 위해 생각해볼 것들...

2005.12.05 10:30

홍성우 조회 수:5722 추천:1

주조된 크라운은 단단합니다.
교합면을 잘못맞추면 대합치와 크라운이 싸우며 서로를 망가뜨리고,
크라운에 가해진 힘을 지대치에 전달하는 세멘도 부서집니다.










크라운의 인접면의 형태가 엉터리입니다.
치아를 깍을 때 인접치아를 깍아서 엉터리형태로 만들어놓고,
그 상태에서 본을 떠서 만든 결과입니다.







2소구치의 원심면이 썪었습니다.
크라운을 위해 치아를 깎을 때 일차적으로 치질이 깎여나갔으며,
인공치의 어깨가 다시 이 부위를 올라탄 채로 위에서 짓누른 결과 이같이 망가졌습니다.






망가진 정도가 작을 경우 shaping을 하여 치아를 보존할 수도 있지만,
망가진 정도가 크거나 치아가 썩었을 경우에는 인공적으로 치아의 어깨를 회복해야 하며,
대개는 금합금 인레이로 회복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치과의료인을 위한 게시판이며 일반인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홍성우 2007.03.19 87752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홍성우 2004.11.10 88675
593 occlusion secret 조희송 2004.06.26 18
592 교합 조정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secret 이지선 2004.05.12 24
591 교합조정 secret 조희송 2004.07.03 29
590 occlusion secret 조희송 2004.06.26 35
589 [re] 교정환자의 치료계획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2] secret 홍성우 2008.09.03 89
588 [re] 의뢰환자에 관한 조언을 구합니다. [1] secret 홍성우 2008.08.11 96
587 교정환자의 치료계획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secret 이선영 2008.09.01 96
586 교수님!!!! [2] secret 이종권 2008.07.14 113
585 교합과 임상....그리고 경영..... [1] secret 이종권 2008.01.02 215
584 교합조정 [2] secret 이석호 2007.05.19 259
583 시린 치아의 교합조정... file 이닥터 2023.11.13 2471
582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개정판 관련... file 이닥터 2023.11.14 2601
581 교합과 임상 second edition을 출간합니다. file 이닥터 2023.10.24 3076
580 교합조정에 대하여 - IV(2) file 조희송 2004.09.05 3707
579 질문이 지워져서 다시올립니다. 민우아빠 2004.06.19 3736
578 [re] 다시 공부좀 하고서 (악관절관련) 홍성우 2004.05.19 3742
577 유춘식 2004.05.22 3748
576 치주에 관한질문 민우아빠 2004.06.19 3753
575 신경치료된 치아의 지각과민... 김은성 2004.04.29 3759
574 추신.. 조희송 2004.06.18 376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