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과 임상

총의치 인상과 비타펙스 사용에 대한 질문...

2006.01.05 15:40

이종권 조회 수:6206

안녕하세요 선생님 키보드 잡은 김에 추가 질문 좀 드립니다.

1. 요즘 상하악 총의치를 두개 제작 중입니다.
지난 번에 선생님이 보내주신 정밀인상 파워포인트를 보면 해부학적 인상을 체득하시는
것 같은데 기능인상을 하지 않고 해부학적 인상을 채득하시는 이유는 무엇인 지 여쭙고
싶습니다. 두 가지 방법이 의견이 분분하다는 것은 결국 둘 다 치료에 가능한 술식이란
뜻인 거 같은데 저는 이번에 두 케이스를 기능 인상으로 떠서 제작 중인데 해부학적 인상
이 가진 장점도 많다는 생각이 들어 여쭤봅니다.

기능인상으로 이번에 제작한 이유는 바우처 책을 보고 개인 트레이를 만들었더니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

2. 신경 치료 filling 재료로 비타펙스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읽었습니다.
전 GP cone을 사용합니다만 가끔 비타팩스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경험이 많으시니 데이터도 많으실텐데 비타펙스 필링된 치아에서
비타팩스가 녹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지 여부와 사용하시면서 느낀 장점과 단점이
있으시다면 좀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치과의료인을 위한 게시판이며 일반인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홍성우 2007.03.19 86392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홍성우 2004.11.10 87296
153 교합면입니다. file 이종권 2005.09.07 4024
152 Food Packing file 조희송 2004.07.07 4024
151 [re] 아래 아티클에 관한 질문... [1] 홍성우 2003.11.19 4023
150 [re] 인접면을 올라 탄 보철물.. 홍성우 2003.10.22 4023
149 시린 이에 대해 조선일보가 소개하고 있는데, 그만 그 내용이... 홍성우 2003.10.31 4020
148 미국에서 치료받은 환자분을 소개합니다. 홍성우 2004.04.07 4015
147 견치가 지대치및 pontic 일때 교합에관해 문의합니다. 김애리 2004.01.13 4015
146 (발췌) 중심교합시 조기접촉점을 먼저 제거해보았습니다. 홍성우 2005.07.12 4008
145 [re]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한 환자입니다. 홍성우 2004.07.13 4007
144 Diastema 교합조정 file 조희송 2004.07.06 4006
143 구치가 망가지는 이유에 대해... 홍성우 2004.05.14 4006
142 [re] 갑자기 궁금해서요 [2] 홍성우 2004.09.14 4005
141 [re] Diastema Closure 홍성우 2004.09.14 3990
140 [re] edge bite 환자의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홍성우 2004.04.06 3989
139 [re] 사진에 대한 질문입니다. 조희송 2004.06.28 3987
138 co시의 접촉관계에 관하여... 이호민 2004.01.12 3985
137 [re] co시의 접촉관계에 관하여... 홍성우 2004.01.13 3985
136 [re] 유치열기의 open bite 홍성우 2004.07.19 3983
135 (발췌) 스케일링의 시기에 대해... file 홍성우 2005.07.19 3982
134 이갈이환자분을 교합조정으로 치료중입니다. (사진 69장) 홍성우 2004.05.13 3982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