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가르쳐주세요 (resin과 GI)

2003.11.27 09:46

홍성우 조회 수:4711 추천:3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GI는 산처리를 통해 치질과의 결합력이 증가되지만, 치질과의 화학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산처리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진은 치질과 화학적인 결합이 일어나지 않으며, 기계적인 결합을 위해
치질에 산처리를 하게 됩니다.

GI는 레진보다 약하고 잘 마모되는 까닭에 저작압을 직접 받는 부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재료도 중요하지만 왜 치료할 정도로 자연치아가 망가졌는지 그 이유를 밝혀서,
원인치료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시간을 내셔서 치과상식-교합편과 치아-충치편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즐겁고 알찬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5360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7451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4612
1414 [re] spacing의 원인을 찾습니다. 홍성우 2004.11.24 3247
1413 contact point의 조정에 대해서 손우일 2005.02.14 3252
1412 길병원강좌 내용을 볼수가 없군요 박정건 2005.03.05 3258
1411 선생님.. 고종수 2005.02.04 3260
1410 문의드려요~* 장민옥 2005.05.03 3266
1409 유견치의 조기 상실 정선일 2006.08.21 3266
1408 신경치료하는 치아에 대해 2004.12.19 3270
1407 [re] 이가 너무 아파여~~ 이선미 2004.09.07 3273
1406 악관절이상 정아 2006.11.05 3279
1405 금이 간 치아.. 지현 2006.11.23 3286
1404 심한 extrusion 환자인데 file 이영재 2004.09.16 3287
1403 치실이 궁금 김봉철 2006.08.09 3289
1402 교합세미나 듣고싶은데요 가을 2006.09.12 3293
1401 질문좀여.. 이정현 2004.09.29 3294
1400 감사합니다. 조정 후 많이 좋아졌어요 ^^ 김선주 2006.10.17 3296
1399 [re] 심한 extrusion 환자인데 [2] 홍성우 2004.09.16 3298
1398 [re] 안녕하세요. 홍성우 2004.12.29 3298
1397 교정에 대한 것도 알고 싶어요^^ 박화숙 2005.04.27 3298
1396 부분 틀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이종권 2005.07.19 3299
1395 안녕하세요? hemisection에 대해서 알고 싶은데요 전희정 2005.04.09 330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