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anterior guide 에 대해서..

2003.11.28 17:31

홍성우 조회 수:4839 추천:6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전방운동은 상하절치가 주도하며, 하절치의 절단면이 상절치설면과 만나면서 이루어지고
또한 그래야 합니다.

구치 한개를 보철물로 회복할 때는 인접자연치 그리고 대합치와 잘 조화되는 형태를 갖추는
동시에, 내측방 외촉방간섭이 나타나지 않도록 또한 전방운동시 대합치와 접촉되지 않도록
교합면을 형성해야 합니다.

구치부위에서 posterior support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할 경우 자칫 중심교합시 절치부위의
접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일 그렇다면 영구보철물로 회복하기 전에 임시장치로써
교합을 안정시키고, 잔존치들의 교합상태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된 후에 비로소 영구보철물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답변이 잘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을 보다 구체적으로 해주시겠습니까?
시간나시면 꼭 교합백서를 1번부터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저녁시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4944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7107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4220
1474 [re] 때운곳에 금이가 있어요.! 홍성우 2004.03.15 3927
1473 [re] 선생님 새로쒸운이가 높은건 문제가 되어도 조금 낮은건 문제가되질않나요... [1] 홍성우 2004.03.15 4034
1472 임산부와 아말감 문의 김지현 2004.03.15 3790
1471 [re] 임산부와 아말감 문의 홍성우 2004.03.16 3826
1470 홍쌤~급해요~!!도와줘여~~ㅠ.ㅠ 김미향 2004.03.17 4417
1469 [re] 홍쌤~급해요~!!도와줘여~~ㅠ.ㅠ 홍성우 2004.03.17 3802
1468 [re] 홍쌤~~!!도와줘여~~ㅠ.ㅠ 김미향 2004.03.17 3760
1467 [re] 홍쌤~~!!도와줘여~~ㅠ.ㅠ 홍성우 2004.03.17 3897
1466 치료하구 나서...더 더 아파용... 강은영 2004.03.25 3872
1465 브릿지 디자인이 궁금한 치과의사 입니다. 문성연 2004.03.25 4285
1464 [re] 치료하구 나서...더 더 아파용... 홍성우 2004.03.25 3765
1463 임플란트.. 남해숙 2004.03.25 3742
1462 [re] 어머니에게 임플란트를 해 드려도 될런지요.. 홍성우 2004.03.25 4738
1461 [re] 브릿지 디자인이 궁금한 치과의사 입니다. 홍성우 2004.03.25 4683
1460 부정교합이라는데요.. 박현빈 2004.03.25 3539
1459 [re] 부정교합이라는데요.. 홍성우 2004.03.26 3931
1458 설소대절제술의 적응 이화섭 2004.03.26 3786
1457 [re] 설소대절제술의 적응 [1] 홍성우 2004.03.26 4279
1456 [re] 브릿지 디자인이 궁금한 치과의사 입니다. 문성연 2004.03.27 3929
1455 빠른답변부탁드립니다... 한빛짱!!! 2004.03.27 3576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