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군기능이란 측방운동시 견치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두개이상의 치아들이 대합치들과 접촉되는
상황이며, 따라서 한개이상의 구치가 대합하는 구치와 닿게 됩니다.

*. 구치부위에 교합지(두께 8마이크론)를 물린 상태에서, 교합지를 약간 잡아당기면서 측방운동을
시키자마자 교합지가 빠져나오면 견치유도교합이며, 조금 있다가 빠지거나 아니면 빠지지 않거나
찢어지면 군기능교합입니다.

측방운동시 구치의 접촉이 나타나면 교근이 긴장하게 되며, 따라서 엄청난 교합력이 서로 대합하는
치아들에게 가해지고, 이 힘으로 인해 치아의 교합면은 물론 인접면도 닳게 됩니다.

*. 군기능교합에서는 치아의 교합면이 점점 편평할 뿐만 아니라 인접치아와 서로 surface to surface contact 을 하게 되는데, 이는 후방구치가 그 앞치아에 밀접한 상태로 볼과 혀쪽으로 움직인 결과입니다.

또한 자연치끼리는 서로 수년 혹은 수십년동안 부비면서 생긴 surface이기 때문에, 세게 물 때
후방구치가 앞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그 앞치아의 뒷면과 밀접한 접촉이 가능해집니다.

*. 인공물로 회복할 때 위처럼 surface to surface contact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이전교합과 임상편을 비롯하여 각 게시판에 상당분량 실려있으므로,
"군기능", "면접촉"등을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치아의 우식이 많은 이유가 면접촉이라기 보다는 면접촉은 군기능상태에서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이며,
군기능상태로 인해 나타나는 교합면의 변형, 치경부위의 변형, 조기접촉, 내측방간섭 외측방간섭
그리고 치아의 유동으로 인해 치아의 우식이 발생되고 치주염도 심화됩니다.

혹시 교합백서를 읽어보셨습니까?
읽지 않으셨다면 1번부터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늘 즐거우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3589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5916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2870
1774 안녕하세요 홍성우 원장님 [2] chasesuhdmd 2023.05.10 5528
1773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1] Moonight 2023.02.26 6197
1772 오픈바이트교정시7번발거로(8번쓰고) 교근활성화에대해? [3] ssuny 2022.09.06 7525
1771 교합기 관련 질문 입니다 [3] Beyondthenature 2021.04.30 12132
1770 질문드립니다 [7] 조재훈 2019.08.15 15419
1769 교합문의입니다. [1] 과묵 2019.06.20 14246
1768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토르 장난 움짤 응가맨go 2018.04.25 18374
1767 토르의장난~ 응가맨go 2018.04.25 18201
1766 데드풀캐릭댄스~ 응가맨go 2018.04.24 17620
1765 춤춤~신나는 댄스 응가맨go 2018.04.23 17059
1764 모든거는 편하게해야함 ㅋㅋ 응가맨go 2018.04.23 17131
1763 역시나 냥이가 싸움잘하네 응가맨go 2018.04.21 17121
1762 야구장 마스코트 알려드립니다~ 응가맨go 2018.04.21 16067
1761 배그)차로 시소타기움짤~ 응가맨go 2018.04.20 16240
1760 유머 움짤~ 응가맨go 2018.04.20 16439
1759 고양이 vs수족관 응가맨go 2018.04.19 16451
1758 80년대 휴대폰 응가맨go 2018.04.18 17179
1757 유머 다들어디숨운겨~ 응가맨go 2018.04.18 16557
1756 우와 멋져부려~ 응가맨go 2018.04.17 16626
1755 걸으면서 문자보내지말기~ 응가맨go 2018.04.17 16592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