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4살 남아인데 앞니때문에요....

2004.07.19 11:15

홍성우 조회 수:3656 추천:9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치아는 먼저 뽑지 않고 치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하지만,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뽑는 것이 나을 경우가 많습니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유절치가 발치되고 영구치맹출까지 상당기간을 기다려야할 경우, 앞니역할을
담당할 장치를 통해 혀의 정상기능. 악골의 바른 성장. 계승치를 위한 공간확보등을 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맹출하는 영구치와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찰및  장치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흔히 웃음가스로 알려진 아산화질소가스를 소개한 글을 올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라며 좋은 결과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출처 : http://www.nature.com, nature science update : 1998년 04월 16일]


'웃음 기체'라고 알려진 아산화질소가 기분을 즐겁게 해준다는 사실은 1799년 험프리 더베이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이 기체를 휴양용으로 이용하였으며, 1840년대 말부터는 마취제로 수술에
이용하였다.

의학용, 치과용 마취제로 널리 이용되어왔지만, 아산화질소가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었다. 〈Nature Medicine〉 4월호에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아산화질소가 마취제로 작용하는 부위가 밝혀졌으며, 아산화질소가 기분을 즐겁게 하거나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기작이
밝혀졌다.

마취제는 일반적으로 뇌, 척추와 같은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의식을 억제하며, 통증을 잊게 만든다.
마취제는 신경간의 신호전달을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신경간의 신호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증이
뇌로 전달되지 않는다.

신경세포들은 신경세포 말단 부위에서 화학물질을 주고받음으로써 신호를 전달한다. 중추 신경계에서는
크게 2 종류의 신호가 있다. 향상시키는 신호와 억제시키는 신호는 각각 글루타메이트와 GABA(γ-amino
butyric acid)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워싱턴 대학 의대 V. 제브토빅-토도로빅은 글루타메이트가 결합하는 위치에 아산화질소가 작용하여
정상적인 신호를 받아들이지 못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라고
알려진 이 부위는 마취제의 일종인 케타민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이 부위는 마취제들에
대한 일반적인 작용 부위는 아니라고 생각되어왔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아산화질소는 다른 마취제들과는 다르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다른 마취제들의 경우에는 주로 GABA 수용체의 억제시키는 신호를 향상시킨다. NMDA 수용체는 NMDA
(N-methyl-D-aspartate)라는 화학물질의 이름에서 비롯되었으며, NMDA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경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연구자들은 아산화질소와 NMDA를 함께 NMDA 수용체에 반응시키는 경우에
NMDA가 단독으로 반응하는 경우보다 신경이 덜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NMDA 수용체에 아산화질소가 결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산화질소가 웃음을 유발하는 것은 NMDA의 독성효과를 다소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산화질소를 소량만
이용하거나, 다른 마취제와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5403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7496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4660
534 [re] 레진필링시,,,shade표 안나게 하고 싶어여,,, 홍성우 2004.07.26 4789
533 무슨 치료를 어느 정도 기간 동안 받아야 할까요? 조항숙 2004.07.26 3869
532 레진필링시,,,shade표 안나게 하고 싶어여,,, 주미경 2004.07.24 4694
531 [re] 충치 치료에 대해서... 홍성우 2004.07.23 3789
530 충치 치료에 대해서... 김성미 2004.07.23 3770
529 [re] 발치를 해야하나요? 홍성우 2004.07.23 3512
528 발치를 해야하나요? 강민석 2004.07.23 3514
527 [re] 디펄핀 홍성우 2004.07.19 4336
» [re] 4살 남아인데 앞니때문에요.... 홍성우 2004.07.19 3656
525 디펄핀 secret 전기일 2004.07.19 4
524 4살 남아인데 앞니때문에요.... 배순옥 2004.07.17 3713
523 너무 너무 무서운 꿈 [1] 강민석 2004.07.15 3590
522 [re] 젖니가 늦게나요. 홍성우 2004.07.14 3872
521 젖니가 늦게나요. secret 우진희 2004.07.13 3
520 [re] 교합조정하면 어깨통증도 좋아질수 있나요? 홍성우 2004.07.08 3809
519 교합조정하면 어깨통증도 좋아질수 있나요? 김광일 2004.07.08 3422
518 [re] 선생님~안녕하세요!!! 홍성우 2004.07.08 4104
517 선생님~안녕하세요!!! secret 유영주 2004.07.07 2
516 [re] 디지털 파노라마에 대한 질답.... 홍성우 2004.07.06 4330
515 디지털 파노라마에 대한 문의.... secret 전희정 2004.07.05 4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