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temporary splinting에 대해서

2004.12.24 14:49

홍성우 조회 수:3216 추천:18

질문


첫째 제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
혹 선생님이 말씀해주신 것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계신것이 있는데 놓친것은 아닌지 걱정됩니다.


답변

외상을 받아 정출되는 치아는 그 외상정도에 따라 몇 마이크론에서 몇 밀리미터에 이르기까지
정출되는 정도가 다양하며,

따라서 별다른 처치없이도 저절로 재위치되면서 정상기능을 되찾는 치아부터 반드시 고정치료 또한
근관치료가 요구되는 치아도 있고, 최선을 다했지만 결국 고정이 안되어 발치하는 치아도 있습니다.

외상을 받은 치아가 정출되어 보이지는 않지만 타진반응에 통증을 호소할 경우,
이는 치주에서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상태이며 비록 작지만 정출을 보이고 있다고 추측되며,

이런 상태에서 치아를 reduction하는 것은 periodontal space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행위가 되어
원치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정출된 치아를 reduction할 때도 역시 우선 정출된 치아를 socket쪽으로
밀어서 통증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까지만 재배치하여 immobilization을 한 후에,

염증반응이 사라지는 시기(이미 말씀드린 것처럼 치아를 socket쪽으로 밀어도 통증이 없거나
거의 느끼지 못하는 시기)부터 reduction을 시행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질문


환자의 부종이 줄어들었는지 체크하기 또한 제위치 시킬때 통증이 없는지를 위해 매일같이
치과에 방문하게 해야 하는지 아니면 어떻게 스케줄을 잡으면 되는지...


답변


외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치료첫날 immobilization을 시행한 후, 증상이 개선되는 약 2-3일후부터
reduction을 위한 치료를 시작하는데, 고무줄과 치실을 이용한 치료시 보통 24시간후 reduction된 것이
확인되며, 이때 고무줄과 치실을 제거후 다른 치실로 치아를 묶고 다시 2-3주 관찰하게 됩니다.




질문


정상적이 아닌 약간의 부종이 있다하더라도 치아를 제위치 시킬때 만약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면
이때 위치시켜도 되는지 아니면 부종이 완전히 없어질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지...


답변


사라지는 시기부터 적절한 힘을 사용하여 재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치아를 제위치 시킬 때 제대로 제위치가 될 것이며 환자가 제위치 시킨것에 대해서 동의하는지
즉 그전 치아의 위치로 완전히 갔다고 생각할 정도로 위치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치아가 제대로 제위치되었다면,
그 치아는 물론 그 치아와 이웃한 치아들의 원래 교합관계가 다시 이룩될 것입니다.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시고픈 이야기나 질문이 더 있으시면 언제라도 글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4118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6468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3381
354 [re] 홍선생님 홍성우 2004.09.03 3217
» [re] temporary splinting에 대해서 홍성우 2004.12.24 3216
352 [re] 어떡해야 할지? 홍성우 2004.09.08 3215
351 기공사에게 교합관련 서적 추천바랍니다. 박준석 2006.08.22 3203
350 광주 교합세미나 참가자인데요...? 류승희 2004.06.07 3201
349 [re] 안녕하세요 ... 홍성우 2004.11.11 3192
348 [re] 질문이있어요^-^ 홍성우 2004.09.20 3185
347 [re] 수복계획 질문 홍성우 2004.12.23 3184
346 [re] 안녕하세요? 홍성우 2004.10.18 3181
345 당뇨있는 환자 쩌니 2006.11.10 3177
344 이런 경우엔... 송남규 2005.07.15 3172
343 질문이있어요^-^ 구자엽 2004.09.19 3172
342 [re] temporary splinting에 대해서 홍성우 2004.12.21 3169
341 [re] 충치관련 질문드립니다... 홍성우 2004.10.26 3169
340 수고많으십니다. 두근두근 2005.02.21 3168
339 선생님..... 부탁드려요..... 강병창 2004.09.20 3167
338 충치관련 질문드립니다... 조연정 2004.10.25 3166
337 [re] 수고많으십니다. 홍성우 2005.02.21 3164
336 [re] 문의 드립니다. 홍성우 2004.12.16 3164
335 [re] 질문드립니다 선생님. [1] 이종권 2005.07.19 3160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