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안녕하세요~ ^^*

2005.04.13 11:42

홍성우 조회 수:3532 추천:13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질문에 구분지어 답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교정 후, 앞니가 많이 틀어진 것 같은데, -
(물론 제가 느끼기에 '많이' 입니다..사람들은 잘 모르는데, 제가 입술을 다무는 게 많이 어색해 졌어요..
돌이켜 보면, 4번째 조정날까지 전치부를 계속 조정해야 했던 것도 이가 틀어졌단 걸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 악관절이 불안정했던 사람들한테 그런 증상이 생긴다고 들었습니다만, 그게 맞나요?

답변

악관절장애는 대개 교합과의 부조화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데,
교정치료를 시작하면서 치아에 유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장애가 사라지기도 하며,

교정이 끝날 즈음 치아가 치조골속에 정착되면서 보여지는 교합상태에 따라
장애가 다시 나타나기도 하고 다시는 나타나지 않게 되기도 합니다.

교정치료는 가급적 어린 나이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만 성장을 충분히 유도하여
치아가 맹출할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악관절의 형태유도가 가능합니다.

성장이 거의 끝날 즈음 혹은 성장이 끝난 후에 교정을 시작하면,
악관절의 형태변화를 기대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악관절의 형태에 교합을 조화시키는 것이 수월합니다.

그리고 치아배열상태가 좋지 못할 수록 닳지 않아야할 부위가 닳아있고 닳아야할 부위가 닳지 않은
경우가 많고 또한 이런 상태가 성인이 될 때까지 유지될 경우 그 정도가 보다 심하기 때문에,

교정을 시행하는 중에 혹은 교정치료가 끝날 즈음에 교합조정을 통해 교합개선을 이룩해야만
교합이 비교적 빨리 안정되면서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성향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정치료를 최근에 받으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치료를 담당하신 선생님과 다시 상담해보시고
필요하시다면 보정장치를 착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질문

지금도 전치부가 약간씩 조이는 느낌이 들어서 계속해서 틀어지려고 그러나~ 걱정이 됩니다..
혹시 전치부가 약간이라도 틀어지는 게 정상범주에 들어 간다면, 그건 조정후 얼마나 있다가 까지인가요?

답변

치아들의 위치는 비록 그 배열이 잘 되었든지 혹은 잘못되었든지에 상관없이 주위근육과 조화되고 있는
상태이며, 치아한개를 수정하여 위치변화 혹은 크기변화를 꾀하면 다른 모든 치아들이 영향을 받습니다.

교정치료를 하고 나면 새로 배열된 치아들은 주위근육들과 조화되어야 하는데,
조화되지 못하면 배열이 흐트러지며 부조화가 클 수록 심하고 기간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정상치열에서도 혀내밀기같은 근육적인 문제로 인해 치열이 흐트러집니다.

*. 흐트러지는 치아는 최대한 밖으로 밀려나가면서 입술이나 볼을 최대한 밀거나 안으로 들어가서
    혀를 최대한 밀면서 더이상 밀지 못하는 상태로 위치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질문

그리고, 이들이 아직도 자리를 잡는 중인지 꽉 물었다가 혀로 살짝 밀어 보면 이가 밀리는 느낌이 나는데,
이런 건 정상인가요? 정상이라면 얼마나 더 있어야 이런 증상이 사라질까요?
(조정한지 오늘로 10일 째 입니다.)

답변

구치부위의 Scissors' bite는 교합조정을 해도 그 효과가 길지 못하는 교합상태입니다.
하악구치는 혀를 최대한 밀고 있고 상악구치는 볼을 최대한 밀고 있으며 위아래 구치의 접촉부위로
인해 upright가 일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교합조정을 하고 나면 우선 닿지 못하는 동안 잠깐 편하지만, 치아의 upright를 방해하던 부위가
삭제되어 하악구치와 상악구치가 upright가 가능해지면서 또다시 문제가 나타납니다.

교합은 그 상태가 좋을 수록 한두차례만으로 쉽게 개선될 수 있지만,
그 상태가 좋지 못할 수록 여러차례 조정을 받아야만 비로소 편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

"중심 교합시"에 견치끼리 물린다면 선생님은 조정을 하시나요?
물론 전치부는 서로 닿지 않아야 하는 걸 알지만,
견치의 정보가 중요하다고 하셔서요~ (이건, 측방 운동시에 찍히는 점을 말씀하셨던 건가요?)

답변

중심교합시 하견치에서 반대편하견치까지는 대합하는 전치들과 접촉되어서는 안되며,
만일 접촉될 경우 상전치 설면 어느 부위를 삭제하여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치부 절단교합이거나 상절치사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에서는 닿게 되는데,
이때는 교정이나 공간폐쇄를 이룩하고 나서 비로소 접촉점삭제가 가능합니다.

*. 교정이나 공간폐쇄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심교합시 접촉으로 인해 상하전치사이에 Trauma가
    발생될 경우, 접촉점을 약간 삭제하여 접촉은 유지하되 충격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질문

마지막 조정후 턱이 조금씩 아프기 시작했습니다.. 입을 다물 때 어금니에 힘이 많이 들어가요..
구치부가 워낙 짧았기에 어쩌면 스플린트를 해야 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느 정도 기다려 보는 게 좋을까요?

답변

크라운을 제작하여 시적할 때, 그 높이가 정상보다 상당히 차이가 날 경우 세게 물지 못하며
조정하는 과정에서 정상보다 아주 조금 높을 경우에 세게 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턱이 아프기 시작하고 어금니에 힘이 들어간다는 것은
이제 전보다 세게 물 수 있게 되면서 교합개선이 거의다 이룩되었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조정전에는 세게 물지 못했지만 조정후 세게 물면서 치아나 치주 혹은 악관절에 병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거의다 이룩되었다고 해서 방치하면 교합조정을 받기 전보다 좋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5390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7475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4641
534 [re] 갑작스러운 악관절 통증에 대한 질문입니다. 홍성우 2005.04.04 3533
533 안녕하세요..홍선생님 최준석 2005.12.02 3532
» [re] 안녕하세요~ ^^* 홍성우 2005.04.13 3532
531 [re]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있어 왔습니다. [1] 홍성우 2006.10.11 3531
530 [re] ^^ 홍성우 2005.08.10 3531
529 [re] 안녕하세요 선생님(교정관련) 홍성우 2005.05.09 3529
528 [re] 턱이좀.... 홍성우 2006.08.14 3526
527 [re] 교합과임상 366번 글 홍성우 2005.08.22 3526
526 금니가시립니다. 유은희 2006.11.25 3525
525 [re] 악관절이 이상이있는것 같아요.. 홍성우 2005.08.16 3525
524 어떡해야 할지? 양수경 2004.09.08 3525
523 스프린트 질문입니다. 고성기 2005.03.02 3524
522 교정시 잇몸의 형태는요? 고성기 2004.07.27 3524
521 [re] 아래에 이어 총의치 교합 조절에 대해 홍성우 2004.05.10 3524
520 [re] 교합조정후 의료보험청구는 어떻게? 홍성우 2005.04.04 3522
519 Setting된 크라운의 과도한 접촉점 해결방안은 없나요 전상옥 2005.03.04 3522
518 [re] 금니를 씌운 후, 계속 시립니다 홍성우 2007.01.05 3519
517 [re] 금이 간 치아.. file 홍성우 2006.11.24 3519
516 [re] 부분틀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홍성우 2005.07.19 3519
515 [re]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홍성우 2004.05.17 3518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