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중심교합상태에 대해서

2007.02.13 14:06

홍성우 조회 수:4669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교합에 열심이신 선생님께 갈채를 보내며,
시간나시면 "이전>>>교합과 임상"편에서 제목에 클릭하시고 "부산"을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성장시 교합은 주위 근육이 제공하는 정보와 조화되는 상태로 만들어지고 또한 성장이
완료되면 결국 악관절과 교합 그리고 근육은 서로 잘 조화되는 상태가 됩니다.

*. 상절치는 맹출하려는 성향은 있지만 아랫입술에 의해 맹출이 저지된 상태이며,
    밖으로는 윗입술 안으로는 혀에 의해 위치가 결정됩니다.

*. 하절치는 맹출하려는 성향이 연하시 발생되는 혀와 아랫입술이 누르는 힘에 의해 혹은
    상절치에 의해 저지되며 안으로는 혀 밖으로는 아랫입술에 의해 위치가 결정됩니다.

*. 상하구치는 서로 맹출하려 하지만 연하시 발생되는 저작근력에 의해 저지되며,
    밖으로는 볼 안으로는 혀에 의해 그 위치가 결정됩니다.

*. 저작시 상하구치는 각기 저작근력에 의해 치조골쪽으로 아주 작은 거리를 이둉하며,
    하악구치가 근심 그리고 설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악구치를 같은 방향으로 몰고 갑니다.

*. 저작근력이 최대수축상태가 되면 치아의 미세한 운동이 멈추게 되며, 이때가 바로
    상하구치의 접촉면적이 가장 크며 기능운동시의 CO라고 생각합니다.



견치의 clearance에 대해 설명드렸는데 절치도 그와 같습니다.

부언하자면, 구치가 오랜 군기능상태로 인접면이 닳려나가면 저작시 근심으로
기능운동거리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치아는 치조골쪽으로 보다 더 깊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하절치와 상절치의 충돌이 발생되며 절치의 절단부위가 잘 닳거나 깨지는
경우도 있고 혹은 상절치가 순측으로 밀려나가면서 치아사이에 공간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런 분은 rest상태에서 상하절치 clearance가 전보다 증가하게 됩니다.

*. 구치에 발생된 조기접촉으로 절치에 clearance가 증가되면 구치교합조정만으로 원상회복됩니다.

답변이 충분했는지 궁금합니다.
즐거운 오후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3909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6270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3195
1414 접촉점에관하여.. 이성훈 2003.10.07 4683
1413 [re] 홈페이지를 본 소감과...간단한 질문.. 홍성우 2003.11.24 4678
1412 턱관절장애 질문입니다. 김경애 2003.12.30 4677
1411 레진필링시,,,shade표 안나게 하고 싶어여,,, 주미경 2004.07.24 4675
» [re] 중심교합상태에 대해서 홍성우 2007.02.13 4669
1409 [re] 부정교합 관련해서 여쭙겠습니다. 홍성우 2007.01.17 4669
1408 [re] 브릿지 디자인이 궁금한 치과의사 입니다. 홍성우 2004.03.25 4669
1407 [re] Gothic Arch Tracing에 대해 정말 자세히 알려주세여 홍성우 2003.11.28 4669
1406 [re] over된 gutta percha point에 대해... 홍성우 2003.10.23 4667
1405 켄틸레버에 관하여... 김재현 2003.11.20 4663
1404 [re] 선생님~!!!!! 홍성우 2003.10.27 4661
1403 [re] 환자분 교합조정 1회실시 하였습니다 잘한건지 ... file 홍성우 2005.08.25 4660
1402 [re] 오늘도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홍성우 2008.03.10 4652
1401 [re] 여러가지 질문. 홍성우 2004.01.01 4652
1400 [re] 포셀린크라운 홍성우 2003.12.19 4651
1399 [re] 어금니가 썩은것을 방치했더니 입안쪽으로 깨져.... 홍성우 2003.10.22 4651
1398 신경치료중 병소의 확대.. 이성훈 2003.10.08 4649
1397 오랫만에 다시 질문 올립니다.... 신종화 2003.11.05 4646
1396 안녕하세용 이누 2004.11.10 4645
1395 궁금 박현선 2003.10.19 4644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