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안녕하세요 급하게 치료를 해야할것같아 질문드립니다. 딱딱한 오징어를 씹다가,, 의치란걸 잊고,,,그만,잇몸윗부분에서 뿌러지고말았어요 왼쪽 송곳니가,,(송곳니두 안에는 금 밖은 도자기로된걸루 씌운거였어요) 그런데 문제는 송곳니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앞니 4개도 도자기로씌워서 4개함께씌운거에요 또 송곳니 기준으로 왼쪽으로 2개는 금으로 씌운거거든요 지금상황이,,,앞니보철이랑 왼쪽2개 몽땅 다 뜯어내구 다시해야할것같으네요 저같은 상황에선 어떤방법으로 해야 하나요?? 앞니는,,기간이 6-7년정도 된것같구요 왼쪽은 재차다시했기에 1년조금된것같아요,,,,지금상황에선 7개정도를 다시해야할것같은데 ㅠㅠ 전 잇몸자체두 않좋구,,,앞부분이 잇몸이 좀 나온상태라,,, 다시할경우 치아가 안쪽으로 좀 들어가보였으면 좋겠어요,, 궁금한건,,현재는,,4개 1개 2개 이런식으로 따로해서 씌웠는데 지금하게되면 7개를 동시에 만들어서 붙여야할것같은데,, 함께 동시에 할경우,,송곳니주변으로 힘을 많이 받게될텐데,,, 이런것두 걱정이에요,,분리해서 할수있는지? 아니면 7개 동시에 붙여두,,나중에 잇몸에서 뜨거나 하지 않을런지 이런저런 걱정임니다,,,,어떤식으로 치아를 해야 할지?? 아무래도 전 사기치아두 수명이 다된것같아서,,다시 할려구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이렇게 빨리 송곳니가 뿌러질줄몰랐어요,,,꼭 답변좀해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3869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6228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3151
1414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 김은경 2004.04.22 3625
1413 [re]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 홍성우 2004.04.22 3729
1412 턱관절.. secret bs 2004.04.28 6
1411 [re] 턱관절.. secret 홍성우 2004.04.29 4
1410 예 맞는데요 bs 2004.04.30 3811
1409 [re] 예 맞는데요 홍성우 2004.04.30 3564
1408 전 어떻게 해야하나요? 제대로 치료중인지 .... secret 치아미인 2004.05.01 8
1407 hot pack과 cold pack 의 적응증... 이선희 2004.05.02 3770
1406 잇몸이 찢어진 경우 이선희 2004.05.02 4490
1405 치은박리소파술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싶어요^^ 김혜경 2004.05.03 4210
1404 [re] 전 어떻게 해야하나요? 제대로 치료중인지 .... secret 홍성우 2004.05.03 4
1403 [re] hot pack과 cold pack 의 적응증... 홍성우 2004.05.03 4618
1402 [re] 잇몸이 찢어진 경우 [1] 홍성우 2004.05.03 5489
1401 [re] 치은박리소파술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싶어요 홍성우 2004.05.03 4593
1400 답변 감사합니다. 추천해주세요... secret 치아미인 2004.05.03 3
1399 [re] 답변 감사합니다. 추천해주세요... secret 홍성우 2004.05.03 3
1398 질문...입니다. secret 치아미인 2004.05.04 4
1397 [re] 질문...입니다. secret 홍성우 2004.05.04 1
1396 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조현기 2004.05.05 3523
1395 [re] 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홍성우 2004.05.05 3560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