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저작력을 받게 되면 치아는 원래 자기 고유의 기능운동을 나타내는데
보철치료로써 두개이상 치아들을 묶게 되면 원래 기능운동이 상실됩니다.

특히 구치들을 서로 묶게 될 경우 치아의 근심운동은 전혀 일어날 수 없으며,
설측으로의 운동만이 이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이런 운동은 침을 삼킬 때처럼 양쪽 구치들이 대합치와 서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움직임이며
    견치유도나 군기능교합같은 교합양태와는 관계없이 설명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3734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6065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3020
1454 [re] 전치부 접촉, 전치부 flaring, VD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홍성우 2005.12.07 4797
1453 [re] 몇가지 궁금한 것과 부정교합 치료비에 관해 홍성우 2003.12.29 4796
1452 [re] 레진충전후의 사진 홍성우 2004.08.18 4795
1451 [re] 신경치료도중 장기간 방치한 경우에... 홍성우 2003.10.08 4795
1450 [re] 보톡스에 대해.. [2] 홍성우 2003.11.27 4787
1449 영구전치의 정보... 하정호 2004.01.27 4786
1448 [re] 죄송합니다. 답변을 일요일까지(12/7일)해주세요^^; 홍성우 2003.12.07 4779
1447 [re] 레진필링시,,,shade표 안나게 하고 싶어여,,, 홍성우 2004.07.26 4767
1446 [re] 설소대에 대해서.. 홍성우 2003.12.01 4760
1445 [re] 부탁드립니다 홍성우 2003.10.17 4760
» [re] 교합백서를 보고 질문 드립니다. 홍성우 2009.01.17 4759
1443 [re] 교합조정 홍성우 2005.11.17 4753
1442 [re] 치아사이의 음식물냄새 홍성우 2003.12.18 4748
1441 [re] 교합조정의 범위 홍성우 2005.01.14 4742
1440 [re] 교합조정후 시린 증상이 사라지는 이유? 홍성우 2004.08.11 4741
1439 발치 하지 않는 교정... 꼼실 2003.10.15 4739
1438 [re] 교합조정의 보험청구에 관해서...... 홍성우 2003.12.05 4735
1437 [re] 시멘트질문입니다. 홍성우 2003.12.29 4733
1436 [re] 저 답답합니다 답좀해주세요 홍성우 2004.02.20 4726
1435 [re] 턱관절 이상으로 고생하고 있어요. 홍성우 2004.01.01 4723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