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합과 임상

crown으로 회복된 1소구치가 결국 발거되었습니다.





발거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치아의 유동이 심했기 때문입니다.

왜 유동이 심해졌을까요?
교합상태가 좋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왜 교합상태가 좋지 못했을까요?
처음부터 교합관계가 좋지 않았을 수도 있고 아니면 점차 나빠졌을 수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나빴다면 교합면형태가 좋지 못했다는 말이지만 점차 나빠졌다면 왜 그렇게 되었을까요?
그 앞치아와의 인접관계가 좋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비록 교합상태가 양호하다할 지라도 점차 사용중에 인공치의 거친 인접면이 그 앞의
자연치아를 닳게 만들고, 소구치가 근심으로 이동하면서 후방구치들이 모두 이동하게 되며,

정작 문제는 인공치에 있지만 인공치로 인해 영향을 받은 후방구치들이 인공치보다 빨리 망가지고,
또한 그런 치아들이 충분히 망가질 때까지 인공치는 마치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지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런 치아들이 치료되거나 아니면 상실되어 더이상 교합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되면,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인공치가 문제를 나타냅니다.

지금까지 margin이 나빠서 그랬다는 말은 하지 않았습니다.
margin도 중요하지만 교합관계나 인접관계의 중요성은 그야말로 중요합니다.

margin을 잘못 맞추면 해당치아만 문제가 나타나는데 예전 모리슨크라운시대를 돌이켜보면
크게 문제될 것도 없을 것같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contact을 잘못 맞추면 인공치 그리고 인접치아가 망가집니다.
그리고 얼마 후 교합되는 치아들이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교합면을 잘못 맞추면 인공치 그리고 대합하는 치아가 망가지며,
동시에 인공치의 인접치 그리고 대합하는 치아의 인접치들이 영향을 받습니다.

잊지 맙시다 !!!

회복된 치아를 치실로 검사할 때 치실은 절대 끊어져서도 안되고 통과하지 못해서도 안됩니다.
또한 치아사이에 치실을 넣고, 양쪽 어금니끼리 문 채로 치실을 당겼을 때는 잘 빠지지 않아야 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치과의료인을 위한 게시판이며 일반인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홍성우 2007.03.19 86398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홍성우 2004.11.10 87305
293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이종권 2006.01.06 4382
292 인레이주위의 2차우식... 하정호 2004.01.29 4380
291 부천에서 여자치과의사분이 오셨습니다. 홍성우 2003.12.01 4375
290 [re]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게 있어서.. 홍성우 2003.10.26 4375
289 (발췌) 바람직스럽지 못한 교합과 그 결과... 홍성우 2005.06.14 4366
288 근육관련 ppt자료 file 홍성우 2003.10.02 4362
287 보철치료시에는 깍을 치아만 깍읍시다 !! 홍성우 2004.08.25 4359
286 교합과는 거리가 먼 보철치료... 홍성우 2004.02.10 4357
285 [re] 군기능교합의 교합조정은 어떻게??? 홍성우 2004.03.30 4354
284 아~ 감사합니다. 선생님. 이종권 2005.09.15 4347
283 (발췌) 교합조정치료중인 환자분에 대한 질문과 답변 홍성우 2005.08.09 4340
282 Resin inlay를 해봅시다. 홍성우 2004.04.01 4339
281 치료는 치료다워야 합니다. 홍성우 2004.03.10 4332
280 [re] 치근노출시에... 홍성우 2003.11.27 4328
279 [re] 5번째 교합조정 받았읍니다. 홍성우 2003.10.30 4321
278 하악 3전치 소실후... 하신장 2003.11.03 4318
277 [re] SDA 에서의 교합 관계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홍성우 2003.11.05 4314
276 [re] 교합의 유지 -> 명문 출판사 1995 읽어도 좋은 책인가요? 홍성우 2003.11.03 4311
275 아래 314번 환자의 교합면 사진입니다. file 조희송 2004.10.01 4310
274 인접면을 convex한 형태로 만드는 작업에 대해... 홍성우 2003.10.21 4303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