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안녕하세요..홍선생님

2005.12.02 12:26

홍성우 조회 수:3562 추천:1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오랜 만의 질문을 보니 가뭄에 단비를 만난 듯 합니다.
질문주셔서 감사드리며 늘 즐겁고 건강한 나날되시기 바랍니다.

왼편 검색기능에서 '소장님'을 검색하시면 상당량의 치질삭제로 교합조정을 시행한 사례가 소개되는데,
이와 같은 상당량의 치질삭제를 통한 교합조정은 드물며 대개는 그보다 적은 양으로 조정하게 됩니다.

*. 조정하는 양은 각 치아마다 다르고 또한 한 치아에서도 부위마다 다르므로 조정되는 양이
    얼마라고 말씀드리기는 힘들며, 조정하는 기준은 측방운동시 대합치와 겨우 닿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교합조정을 상당량 시행해서 비록 상아질이 노출되었다고 하더라도,
교합조정이 제대로만 시행되면 시린 증상은 대개는 시행한 날 혹은 길어야 일주일내로 사라지며,

이렇게 노출된 상아질은 굳이 어떤 치과재료를 이용한 처치 혹은 보철치료를 하지 않은 채
교합이 안정된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하여도 우식은 진행되지 않습니다.

*. 교합이 좋지 않아서 구치가 파절되기도 하는데, 파절편이 커서 남은 치아가 대합치와 제대로
    교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보철치료로 회복하기도 합니다.

그 반대로 시린 부위를 조금만 삭제하여 아직 법랑질이 치질을 덮은 상태이며
또한 여전히 교합력이 그 법랑질에 가해지고 있다면,

법랑질을 통해 상아질에도 힘이 가해져서 시린 증상은 사라지지 않으며,
힘으로 변형된 상아질은 비록 법랑질이 덮고 있더라도 균에 쉽게 작용되어 충치로 발전되기 쉽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1683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4086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1052
1034 1차 교합조정후 보고~~~~ secret 김명조 2005.12.19 17
1033 [re] 1차 교합조정후 보고~~~~ file 홍성우 2005.12.19 5787
1032 교합개선 문의 secret 김명조 2005.12.16 11
1031 [re] 교합개선 문의 [2] 홍성우 2005.12.16 4216
1030 치아에 대해 궁금한점이 하나있읍니다. 김광일 2005.12.07 3798
1029 [re] 치아에 대해 궁금한점이 하나있읍니다. 홍성우 2005.12.08 3921
1028 전치부 접촉, 전치부 flaring, VD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양철희 2005.12.07 3615
1027 [re] 전치부 접촉, 전치부 flaring, VD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홍성우 2005.12.07 4754
1026 질문 있습니다.. 이정훈 2005.12.05 3509
1025 [re] 질문 있습니다.. 홍성우 2005.12.06 4416
1024 [re] 질문 있습니다.. 이정훈 2005.12.06 3514
1023 [re] 질문 있습니다.. [1] 홍성우 2005.12.07 3644
1022 선생님.....너무 인기가 좋으세요....^^ [1] 이종권 2005.12.05 3516
1021 안녕하세요..홍선생님 최준석 2005.12.02 3504
» [re] 안녕하세요..홍선생님 홍성우 2005.12.02 3562
1019 조기 접촉점의 교합 조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양철희 2005.12.01 3625
1018 [re] 조기 접촉점의 교합 조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홍성우 2005.12.01 3623
1017 [re] 조기 접촉점의 교합 조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3] 양철희 2005.12.01 3623
1016 견치유도및 치료계획문의 secret 김명조 2005.11.24 17
1015 [re] 견치유도및 치료계획문의 홍성우 2005.11.25 3850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