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spacing의 원인을 찾습니다.

2004.11.24 10:32

홍성우 조회 수:3242 추천:5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원래는 벌어지지 않았던 위앞니사이가 교합변화로 인해 벌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posterior support 붕괴로 인해 VD소실과 함께 구치접촉과 더불어 나타나는 상하절치의 접촉,
측방운동시 구치접촉과 더불어 측방운동각의 보다 수평각쪽으로의 변화로 인한 상하절치접촉,
전방운동시 구치접촉과 더불어 전방운동각의 보다 수평각쪽으로의 변화로 인한 상하절치접촉 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상하절치에 overbite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런 접촉의 나타날 경우
상절치는 하절치를 설측으로 하절치는 상절치를 순측으로 강하게 밀어내는 효과를 보이며,

중심교합 또는 전방과 측방운동시 구치접촉과 함께 edge to edge상태에서 이런 접촉이 나타날 경우
상하절치는 모두 순측으로 밀려나가며 치아장축이 보다 순측으로 기울수록 효과가 더합니다.

또한 상절치가 더욱 순측으로 밀려나가서 하순의 vermilion border를 넘어서게 되면
하순이 상절치를 설측으로 미는 대신 순측으로 밀게 되어 앞니사이가 더더욱 벌어지기도 합니다.

절치역시 치아장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치주인대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며,
순설측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한 치주인대가 곧잘 파괴되는 동시에
치조골이 생성이 안되어 결국 소실되고 또한 치은도 퇴축됩니다.

검색기능에서 "앞니 벌어지"를 검색해보셨습니까?
이를 검색하시면 관련된 자료가 상당분량 준비되오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결과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4940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7102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4216
714 [re] edge bite의 경우는..? 홍성우 2004.12.16 3931
713 조언 좀 부탁 드립니다 [1] secret 정종강 2004.12.06 5
712 수직 고경을 증가 시키는 방법..? dr.hwang 2004.12.02 5258
711 [re] 수직 고경을 증가 시키는 방법..? 홍성우 2004.12.03 3821
710 홍선생님 추천좀해 주세요 secret 강재희 2004.11.29 4
709 [re] 홍선생님 추천좀해 주세요 홍성우 2004.11.30 3388
708 몇가지 궁금한 게 있습니다. 조항숙 2004.11.29 3073
707 [re] 몇가지 궁금한 게 있습니다. 홍성우 2004.11.29 3362
706 어금니가 점점 짧아져갑니다. 조항숙 2004.11.24 3307
705 [re] 어금니가 점점 짧아져갑니다. 홍성우 2004.11.24 3410
704 spacing의 원인을 찾습니다. file 이영재 2004.11.23 3077
» [re] spacing의 원인을 찾습니다. 홍성우 2004.11.24 3242
702 안녕하십니까. 고성기 2004.11.23 3126
701 [re] 안녕하십니까. 홍성우 2004.11.23 3155
700 bruxism과 spacing... file 이영재 2004.11.22 3103
699 [re] bruxism과 spacing... file 홍성우 2004.11.23 3427
698 궁금합니다. file 이영재 2004.11.18 2938
697 [re] 궁금...(앞니사이가 점차 벌어지는 경우) 홍성우 2004.11.19 3993
696 안녕하세요 ... 이진재 2004.11.11 3113
695 [re] 안녕하세요 ... 홍성우 2004.11.11 3200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