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질문입니다..

2005.05.09 10:17

홍성우 조회 수:3616 추천:5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선생입니다.

주신 질문을 구분하여 답변드리며, 부디 빨리 완쾌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처음 조정을 받고 나서 부터, 4번 째 조정을 받고 난 후 며칠 동안 까지 계속 앞니가 조이는 느낌이
들다가, 최근 2-3주 동안은, 하악 전치부가 가만히 있어도 너무 시려서 (하루 2-3 시간은 심하게,
나머지는 간간히), 시린 동안은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는 정도입니다..

(엑스레이를 찍어 봐도 우식 증상은 없으며, 예전에 찍어 뒀던 사진과 비교 해 봐도 차이가 없습니다.
또한 뜨거운 것, 찬 것, 단 것에도 전혀 증상이 없습니다.)

밤 사이 이를 꽉 무는 버릇도 없는데, 아침에 손으로 살짝 흔들어 보면, 상악 전치부가 "딸깍(?)"
거리면서 심하게 흔들리고, (손으로 흔들어 봐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은 아침에만 이며, 낮동안은
구강안에서 아주 조금만 혀로 밀어도 심하게 딸깍거립니다..)

또 낮동안은 하악 전치부의 시린 증상이 하루 2-3시간은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이를 다물고 있다 벌린 후, 혀로 살짝씩 밀어내면 모든 치아가 딸깍거리는 느낌으로 쉽게 밀립니다. 대신 상악 전치부에서
그 증상이 심해서, 음식을 먹을 때건, 대화를 할 때건, 신경이 많이 쓰이는 정도고요.

상악 전치부의 틀어진 정도가 처음보다 정도가 더해져서 입술이 쉽게 다물어지지 않고, 의식을 하고
꼭 다물지 않으면, 치아가 입술 사이로 보입니다.. (분명 전에 없던 증상입니다..)

위의 증상들이 교합 조정을 받은 것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 것인 궁금하며, 치아가 앞으로 몰린 것이 다시
회복 될 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있다면 어떤 방법을 통해서 인가요?)


답변

잘 아시겠지만 교합은 성장중에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교합이 완성된 후에는
교합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변화가 없거나 있다하더라도 천천히 그리고 그 정도가 작아야 합니다.

치아가 잘 망가지고 치주질환이 잘 발생하며 악관절장애를 나타내는 경우를 살펴보면 대개
좋지 못한 교합이 관련되며, 교합치료는 이런 질환의 재발을 막는데 상당히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절치에 대한 위치정보는 입술과 혀에 의해 결정되는데, 4절치는 일종의 dam을 형성하여 저작시
구치에 의해 발생되는 교합력이 견치에 의해 일차 차단되고 나서 남은 여력을 이차적으로 차단하며,
다시 입술에 의해 삼차적으로 차단됩니다.

전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었던 상절치부위에 교합조정후 딸깍거리는 증세가 나타났다면
다음과 같은 추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교합조정으로 인해 구치의 정상적인 생리적운동이 다시 발생되어 절치에 힘을 전달하기 때문...
높아졌던 VD가 정상회복되면서 혀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앞니에 힘이 더 가해지기 때문...
전방운동시 구치부간섭으로 인해 상하절치가 접촉이 안되다가 조정후 다시 접촉되기 때문...
교합조정후 절치만이 접촉하는데 다시 구치부위의 교합변화도 또다시 절치와 구치가 닿기 때문...

*. 교합조정은 조정당시의 환자분의 교합상태에 따라 그 효과가 평생가기도 하지만 1년도 못가서
   또다시 문제를 나타내는 분도 계십니다.
*. 제 홈페이지 왼쪽 검색기능에서 '7년'을 검색하시면, 7년간 교합조정을 하시다가 결국은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고 계시는 환자분에 대한 이야기가 소개됩니다.



질문


이를 꼭 다물고 있으면 소구치에서만 물리는 느낌이 들며, 실제로 CR 살태에서 교합지를 물면,
소구치에만 교합점이 찍힙니다. (후방 구치에 찍혀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교합조정을 다시 받는 것이 나을까요? 그렇다면 어느 정도 더 받아야 할까요?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혹시 1달이라는 시간동안을 너무 지체한 것일까요?
(치아가 군기능 등으로 인해 닳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대략 최소 얼마정도의 시간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계십니까?)

답변

아마도 교합조정후에 치아들이 다시 재배열하는 중에 소구치에서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이대로 방치하면 이로 인해 전에 해결된 부위에 또다시 문제가 나타나므로 가급적 빨리 조정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질문

교합조정 후 치아가 앞으로 쏠리는 증상이 더 해 질 수도 있을까요?


답변

교합조정을 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입니다.

군기능교합이 진행되면 치아의 인접면이 닳면서 치아가 보다 근심 그리고 보다 설측으로 기울게 되며,
이런 상황에서 그 치아의 원심협측부위가 교합평면쪽으로 들리우고,

이 들리운 부위로 인해 치아에 엄청난 교합력이 전달되면서 그 부위가 망가지거나 치아가 협설쪽으로
움직이면서 치아의 인접면이 닳게 되는 과정을 되풀이합니다.

교합조정은 이런 들리운 부위를 제거하여 치아에 무리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막고,
측방운동중에 대합치와 닿지 않게 하여 치아가 협설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막습니다.


질문

만약 그렇다면 교정을 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합니다만, 옳은 생각인가요?


답변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교합조정은 그 시기도 중요하지만 교합조정당시의 환자분의 교합상태도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교합조정만으로 치료가 어렵거나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결국 교정치료를 계획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3598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5926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2876
874 치아재식술에 관해서.. 전희정 2005.05.11 4376
873 [re] 치아재식술에 관해서.. 홍성우 2005.05.11 5268
872 상악 12번 브릿지와 하악 파샬덴쳐의 교합 file DR.lee 2005.05.10 5032
871 [re] 상악 12번 브릿지와 하악 파샬덴쳐의 교합 홍성우 2005.05.11 3770
870 [re] 상악 12번 브릿지와 하악 파샬덴쳐의 교합 DR.lee 2005.05.12 4458
869 안녕하세요 선생님~ 봄이에요~ 이정희 2005.05.09 3499
868 [re] 안녕하세요 선생님(교정관련) 홍성우 2005.05.09 3509
867 질문입니다.. secret 신명진 2005.05.08 4
» [re] 질문입니다.. 홍성우 2005.05.09 3616
865 악관절장애 환자의 교합조정 secret 최용덕 2005.05.07 2
864 [re] 악관절장애 환자의 교합조정 홍성우 2005.05.07 3664
863 아래질문드렸던 사람입니다. [1] secret 임현석 2005.05.06 3
862 교정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임현석 2005.05.06 3524
861 [re] 교정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홍성우 2005.05.06 3688
860 문의드려요~* 장민옥 2005.05.03 3239
859 [re] 문의드려요~* 홍성우 2005.05.04 3732
858 교정에 대한 것도 알고 싶어요^^ 박화숙 2005.04.27 3282
857 contact에 대해 하나 더 질문드립니다. 이종권 2005.04.22 3562
856 [re] contact에 대해 하나 더 질문드립니다. 홍성우 2005.04.25 3838
855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 [1] 이종권 2005.04.22 3670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