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주세요

[re] 음식물이 잘끼일때요

2006.12.04 10:52

홍성우 조회 수:3707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치아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가장 큰 이유는 치아가 협측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며,
교합조정을 통해 측방운동시 구치가 대합치와 닿지 않도록 하여 이런 증상을 개선합니다.

하악 1대구치의 DBC는 상악 1대구치의 Central fossa와 대합하여 상악구치를 근심으로
움직이게 하는 동시에 상악구치를 설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치아사이는 보다 tight해집니다.


만일 하악1대구치의 원심부위에 조기접촉이 발생될 경우,
해당치아는 근심이동성향이 줄게 될 뿐만 아니라 근심경사하려는 후방구치와 충돌하며,
1대구치의 원심은 보다 tight해질 수 있지만 1대구치의 근심은 약간 loose해지게 됩니다.

치경부위가 패여서 시린 것이 아니라 패이게 만드는 힘으로 인해 남은 치질에서
시린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측방운동시 구치가 대합치와 닿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이런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치경부위가 패인 치아를 교합개선없이 회복하게 되면,

      교합력으로 쉽게 휠 수 있던 치아가 치과재료로 인해 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교합력은 해당치아의 교합면에 더 크게 작용하게 됩니다.
      이 힘은 치경부위에 전달되어 재료를 잘 떨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상악절치들사이에 전엔 없었던 공간이 발생되고
그 공간이  점점 커지고 그 원인이 구치의 교합변화와 관련될 경우,

벌어진 치아를 모으고 절치설면을 조정하여 구치가 갖는 교합정보와 어울리도록 만들면
절치들은 밀려나지 않고 따라서 절치사이에 공간은 발생되지 않게 됩니다.

*. 교정치료로서 치아들을 모으기만 하고 교합조정을 하지 않을 경우,
    중심교합시에 상하절치의 충돌과 측방운동시의 상하절치의 접촉으로 또다시 밀려나게 됩니다.

*. 교정치료를 하지 않고 교합조정만 할 경우, 밀려났던 치아들의 원래의 위치회복은
    어렵지만 치아들은 더이상 밀려나가지 않게 되며 공간을 치과재료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구치의 동요는 하악보다 상악에서 더 잘 발생되지만 치아의 크기나 치근수의 차이로 인해
혹은 균형측에서의 접촉이 발생될 경우 하악구치에서 동요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림을 그리느라 수고가 많으셨겠네요.
가능하시다면 환자분의 구강내사진 그리고 study model사진을 보내주시거나
아니면 model을 보내주시면 보다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남기실려면 먼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3] 홍성우 2007.03.19 272358
공지 레포트를 위한 질문은 사양합니다. 홍성우 2007.03.15 264719
공지 제 홈페이지의 글을 읽으실 때는.. [2] 홍성우 2004.11.12 271718
1234 [re] 다음번 치료계획에 대해서.. 홍성우 2006.12.26 4311
1233 금인레이 문효정 2006.12.22 4397
1232 [re] 금인레이 홍성우 2006.12.22 4651
1231 궁금합니다... secret 김현자 2006.12.20 4
1230 [re] 궁금합니다... 홍성우 2006.12.20 3788
1229 책 추천이요.. 다양 2006.12.19 3355
1228 [re] 책 추천이요.. 홍성우 2006.12.19 3880
1227 치과치료종결 해야 하나요? secret 만5살여아맘 2006.12.16 8
1226 [re] 치과치료종결 해야 하나요? 홍성우 2006.12.16 3674
1225 궁금한게있어서요.. secret .. 2006.12.07 9
1224 [re] 궁금한게있어서요.. secret 홍성우 2006.12.08 10
1223 교합이 안 맞아서 file 이문식 2006.12.05 3687
1222 [re] 교합이 안 맞아서 홍성우 2006.12.06 3789
1221 음식물이 잘끼일때요 file 이누 2006.12.02 4320
» [re] 음식물이 잘끼일때요 홍성우 2006.12.04 3707
1219 선생님, 저 좀 도와주세요 박진우 2006.11.30 3485
1218 [re] 선생님, 저 좀 도와주세요 file 홍성우 2006.12.01 3657
1217 안면 or 턱의 비대칭 김선희 2006.11.28 3430
1216 [re] 안면 or 턱의 비대칭 홍성우 2006.11.29 3654
1215 조기 접촉점인지 어떻게 구별하나요? secret 안태윤 2006.11.28 13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안녕하십니까? 치과의사 홍성우입니다.
오늘날 의학은 눈부시게 발전되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유전자를 이용한 치료와 같은 첨단 시술이 행해지고 또한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과 150년 전만해도 병원은 사람이 살아나가는 곳이 아니라 죽어나가는 곳으로 인식되던 시기였으며 의학은 그야말로 암울했습니다. 그러던 중 레이벤후크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세균의 정체가 드러났고, 파스퇴르와 코흐 같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생명을 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과질환인 충치 그리고 풍치 역시 교합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교합을 이해함으로써 이런 질환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런 재미난(?) 치과이야기들을 치과의사가 아닌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고, 아울러 이런 이야기들이 좋은 치료를 위한 눈과 귀가 되어드리기를 희망하면서 두 권의 책을 2012 년, 2014 년에 출간했으며, 2023 년 11 월에 개정판을 출간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1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
Vol 2


홍성우의 임상가를
위한 교합학-개정판


잘 닦는데 왜 썩어요?

왜 혼자만 치아가 잘 썩을까요? 치료받은 치아가 또 썩는다면 정말 안닦아서 그럴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치과의사들도 충치가 있답니다.
남들은 찬물을 잘 마시는데 왜 혼자만 치아가 시릴까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해서 아예 시린 통증을 못느끼게 하는 치료가 정말 좋은 치료일까요?
왜 음식물이 혼자만 잘 낄까요? 치과에서는 인공치를 하라거나 두 개를 붙혀서 아예 끼지 않도록 하라는데 그게 맞는 치료일까요?
치과에서 교정을 하라면서 치아들을 뽑으라는데 정말 뽑지 않고서는 교정치료가 불가능할까요?
매스컴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많은 의료광고를 접하게 되는데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좋은 정보를 가려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여기 알기 쉬운 치과상식 그리고 꼭 알아야 할 치과상식을 소개드리며, 좋은 치료 그리고 꼭 합당한 치료를 받으시길 소망해봅니다.


잘 닦는데 왜 썩어요?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